학술논문
결혼 가치관 함양을 위한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용수 477
- 영문명
-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Home Economics Maker Education Program for Better Marriage Valu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샛별(Kim, Saet-Byeo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7호, 1347~137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0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결혼 가치관 함양이라는 가정과 교육 목적을 달성하는 방안으로써 메이커교육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PDIE의 4단계를 거쳐 6차시의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고등학생 1학년 240명을 대상으로 실행하고,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인터뷰를 통해 도출된 메이커 수업의 효과는 첫째, 학생들은 비물질적인 가치관을 쿠키로 형상해 가는 활동을 통해 추상적인 자신의 결혼관을 구체적으로 정립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둘째, 스토리텔링 기반 공유하기 수업은 쿠키를 매개로 자신의 결혼 가치관을 발표하기 때문에 발표 내용의 집중과 의사소통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셋째, 결혼 가치관을 상호 공유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결혼 가치관을 접하게 되면서 수업 전보다 결혼에 관한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자세를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가치관 교육의 메이커 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기에 의미가 있으며, 추후 연구로 성 가치관, 가족 가치관 등 가정과 가치관 함양을 위한 다양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를 살펴보는 연구를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ology called Maker Education as an alternative for better marriage values of adolescents and achievement of the education purpose. For doing this, I developed 6-lessons Home Economics maker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4th stage of PDIE. Classes were conducted for 240 freshmen students in high school, and the educational effects were examin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The effects of maker classes drawn from the interview were as follows. First, maker classes helped students to define their own abstract marriage values specifically through activities to form nonmaterial values into cookies. Second, sharing classes based on storytelling helped students to focus on presentation contents and communicate with others because students present their own marriage values by mediating cookies. Third, students could have more open and receptive attitudes than the time when classes didn’t get started during a process sharing marriage values. This study was meaningful to identify probabilities that Maker Education would be applied to Value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studies that examine the developments and effects of various Maker Education programs for suppositions such as a gender equality values and family values and better value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업전문성 연구의 대안적 관점: 적응적 전문성
- 전문대생의 그릿(Grit)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중학생의 음악극 학습 관련 2015 개정 음악교과서 내용 분석
- 재외한국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학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부모의 학교 참여 경험, 학부모·자녀 관계 및 중학생 공동체의식 간 구조적 관계
- 간호대학생의 자기인식, 감성지능이 돌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들이 경험한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간의 차이와 흥미 분석
- 보건의료계열 기초교과목 학습법 국내 연구동향 관련 문헌 연구
- 여대생의 부모됨 동기 영향요인
-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독서 시간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민요 제재곡 분석
- 교사의 협력적 수업개선활동 참여가 교사효능감과 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일상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여성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와 여가기술 및 생활만족의 구조모형 분석
- 턱걸이 운동의 갈고리형 스트랩 사용이 근활성치에 미치는 영향
- 결혼 가치관 함양을 위한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이 인식하는 긍정적 양육태도, 교사 친밀성, 또래 공동체 의식, 성장신념의 구조적 관계 및 성별 간 다집단 분석
- 어머니의 우울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협동학습에 관한 고등학생의 인식 연구
- 적응적 협력학습 지원을 위한 면대면 협력 그룹의 학습 과정 분석
- A tendency study on the research about Influence Factors of Chinese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 Based on 298 literatures from CNKI 2000 to 2019
- 성격5요인이 자기조절학습전략에 미치는 영향분석
- 문화체험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국악교육의 삼분손익법 구조 및 황종율 고찰
- 대학생이 인지한 사회적지지,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묵자 겸애(兼愛)사상에 대한 고찰: 초등도덕교육에 주는 시사
- 학습목표 모호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생애 설계와 진로 탐색 단원의 기업가정신 교육 수업자료 개발
- 영유아 교육기관 학부모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
- 간호대학생의 자기인식, 공감능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 토론에서 드러난 부적절한 태도 양상과 교육 방안 연구
-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유아 놀이권리인식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북한 관련 교육 분야 연구들의 정부별 연구주제 변화 동향분석
- 한국어 학습자 변인에 따른 쓰기 전략 양상 연구
- 상담전공 학부생의 진로결정부터 직업세계 진입까지의 경험 탐색
- 부모의 과잉통제가 자녀의 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반영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및 탐구 성향 분석
-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소외계층 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신체언어 선정 연구
- 유아의 메타인지와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유아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
- KDB 모형을 통한 사회과 To Do 요소의 구조화
- Analysis of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Education Content in Middle and High School Health Textbooks
- 진로·취업프로그램이 이공계열 대학졸업자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 유아교사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 관계에서 자기탄력성의 매개효과
- 집단따돌림 참여 역할에 따른 보편적 가치의 차이
-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아동 스마트미디어기기 의존, 집행기능 곤란, 화용언어능력의 구조적 관계 탐색
- 다문화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마이스터고등학교 창의융합교육 변인들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 탐색
- 중등학교 관리자를 위한 창의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다문화가정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와 부-자의 관계 회복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교사효능감, 아동의 학업수행능력 및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통합수업 사례
-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 현실치료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 청소년이 지각하는 과보호 양육, 자아존중감, 우울,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
-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창작동요 제재곡 분석
- 진로활동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학업효능감, 학습참여의 매개효과
-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전후 교과서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의 변화
- 생태감수성 함양을 위한 균형교양교과목 운영방안
-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유아 내재화 문제행동, 아버지 양육참여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분석
-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과 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대학교수들의 인식 중심의 사례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