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이용수  128

영문명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s Perception on Communication Education of Non-Verb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미아(Lee Mia) 권미지(Koen MiJ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7호, 511~52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0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예비특수교사의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과 학년별, 관련과목 수강경험, 장애학생지도 경험 여부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특수교육관련 학과에 소속되어 있는 예비특수교사 251명을 대상으로 배경정보와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16개 문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예비특수교사들은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과 관련된 모든 문항에서 4.23이상의 높은 평균을 보였다. 둘째, 예비특수교사의 학년에 따른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는 없었다. 셋째, 예비특수교사의 관련과목 수강경험에 따른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넷째, 예비특수교사의 장애학생 지도경험 여부에 따른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s perception on communication education of non-verb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e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s general perception on communication education of non-verb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examined. A total of 251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belonging to the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were surveyed with 16 questions related to background information and awareness of communication education of non-verb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liminary special teachers showed a high average of 4.23 or higher in all questions related to communication education of non-verb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ommunication education among non-verbal students according to grade of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non-verb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 s related courses.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non-verbal students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아(Lee Mia),권미지(Koen MiJi). (2020).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7), 511-528

MLA

이미아(Lee Mia),권미지(Koen MiJi).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7(2020): 511-5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