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과 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대학교수들의 인식 중심의 사례연구

이용수  220

영문명
A Case Study of University Professors Perceptions on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Chemistry Curriculu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백은숙(Paik, Eun-Sook) 홍훈기(Hong, Hun-Gi)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7호, 941~97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0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에 대한 대학교수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교육 현장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될 때 연계성 확보 측면에서 발전적인 방안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대학교 화학과에서 일반화학을 강의한 대학교수 10인을 선정하였고, 교수자로서 강의 경험을 바탕으로 심층적인 면담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대학교수들은 대부분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화학과 대학교 일반화학의 교과 내용의 연계는 잘 되고 있다고 인식하였으나, 고등학교 현장에서 실행된 교육과정의 화학과 일반화학 사이의 연계성은 부족한 것으로 응답하였다. 둘째, 대학교수들은 ‘대학생들의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과목’이 일반화학 강의 방향에 영향을 많이 준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대학교수들이 교수자로서 일반화학 강의를 할 때 대학생들이 어려워하는 단원을 수직적·수평적 연계성 측면으로 분석하였고, 이에 따라 화학Ⅰ, 화학Ⅱ, 일반화학 사이의 내용 체계에 대한 연계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넷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확보를 위하여 대학교수들은 고등학교 선택교과 및 대학 입시제도의 개선, 충실한 기초개념의 학습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university professors’ perceptions about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o suggest the developmental measures and implications for securing the connection wh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 For this study, ten university professors who taught general chemistry at the department of chemistry were select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lecture experience. As a result, first, most university professors perceived that the curriculum content of high school chemistry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eemed to be well related to general chemistry. But they perceived that the connection between chemistry and general chemistry was insufficient in the curriculum implemented on school sites. Second, university professors perceived that ‘the science subjects that university students chose in high school’ influenced the direction of general chemistry lectures.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onnection aspects of chapters that university students think difficult when professors teach general chemistry. Accordingly, we figured out the connection in the content system among ChemistryⅠ, ChemistryⅡ, and General Chemistry. Fourth, to secure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chemistry subject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university professors have suggested the improvement for the optional curriculum and the admissions system, and the study of faithful basic concep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은숙(Paik, Eun-Sook),홍훈기(Hong, Hun-Gi). (2020).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과 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대학교수들의 인식 중심의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7), 941-970

MLA

백은숙(Paik, Eun-Sook),홍훈기(Hong, Hun-Gi).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과 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대학교수들의 인식 중심의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7(2020): 941-9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