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전후 교과서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의 변화
이용수 655
- 영문명
- Changes in the Levels of Cognitive Demand in Textbook Tasks before and after 2015 Revis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 Focused on the Function for 7th Grad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혜윤(Jung Hye Yun) 이경화(Lee Kyeong Hw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7호, 833~85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0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전후의 수학 교과서 과제를 비교해 봄으로써, 중학교 1학년 함수 영역의 과제가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문제해결 관련 학습기회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두었다. 특히,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변화된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의 분포와 수준별 과제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내용 변화에 따른 과제 수준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과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의 분포와 관련하여, 낮은 수준 과제의 비중이 증가하고 높은 수준 과제의 비중이 감소하였다. 둘째, PNC 과제와 DM 과제의 비중이 증가하고 M 과제와 PWC 과제의 비중이 감소하였다. 셋째, 교과서 별로 차이는 있었지만, 함수 개념의 삭제는 PWC 과제의 비중이 감소에, 그래프 해석의 도입은 DM 과제의 비중 증가에, 정비례와 반비례의 도입은 PNC 과제의 비중 증가에 기여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changes in the levels of cognitive demand in textbook tasks according to the change of learning contents, by comparing the mathematics textbook tasks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2015 mathematics curriculum.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distribution of levels of cognitive demand of tasks, the ratio of low-level tasks increased and the ratio of high-level tasks decreased. Second, the ratio of PNC tasks and DM tasks increased and the ratio of M tasks and PWC tasks decreased. Third,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extbooks, the deletion of the function concept reduced the ratio of the PWC task, the introduction of graph interpretation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ratio of the DM task, and the introduction of the direct and inverse proportion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ratio of the PNC task.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업전문성 연구의 대안적 관점: 적응적 전문성
- 전문대생의 그릿(Grit)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중학생의 음악극 학습 관련 2015 개정 음악교과서 내용 분석
- 재외한국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학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부모의 학교 참여 경험, 학부모·자녀 관계 및 중학생 공동체의식 간 구조적 관계
- 간호대학생의 자기인식, 감성지능이 돌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들이 경험한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간의 차이와 흥미 분석
- 보건의료계열 기초교과목 학습법 국내 연구동향 관련 문헌 연구
- 여대생의 부모됨 동기 영향요인
-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독서 시간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민요 제재곡 분석
- 교사의 협력적 수업개선활동 참여가 교사효능감과 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일상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여성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와 여가기술 및 생활만족의 구조모형 분석
- 턱걸이 운동의 갈고리형 스트랩 사용이 근활성치에 미치는 영향
- 결혼 가치관 함양을 위한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이 인식하는 긍정적 양육태도, 교사 친밀성, 또래 공동체 의식, 성장신념의 구조적 관계 및 성별 간 다집단 분석
- 어머니의 우울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협동학습에 관한 고등학생의 인식 연구
- 적응적 협력학습 지원을 위한 면대면 협력 그룹의 학습 과정 분석
- A tendency study on the research about Influence Factors of Chinese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 Based on 298 literatures from CNKI 2000 to 2019
- 성격5요인이 자기조절학습전략에 미치는 영향분석
- 문화체험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국악교육의 삼분손익법 구조 및 황종율 고찰
- 대학생이 인지한 사회적지지,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묵자 겸애(兼愛)사상에 대한 고찰: 초등도덕교육에 주는 시사
- 학습목표 모호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생애 설계와 진로 탐색 단원의 기업가정신 교육 수업자료 개발
- 영유아 교육기관 학부모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
- 간호대학생의 자기인식, 공감능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 토론에서 드러난 부적절한 태도 양상과 교육 방안 연구
-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유아 놀이권리인식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북한 관련 교육 분야 연구들의 정부별 연구주제 변화 동향분석
- 한국어 학습자 변인에 따른 쓰기 전략 양상 연구
- 상담전공 학부생의 진로결정부터 직업세계 진입까지의 경험 탐색
- 부모의 과잉통제가 자녀의 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반영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및 탐구 성향 분석
-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소외계층 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신체언어 선정 연구
- 유아의 메타인지와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유아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
- KDB 모형을 통한 사회과 To Do 요소의 구조화
- Analysis of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Education Content in Middle and High School Health Textbooks
- 진로·취업프로그램이 이공계열 대학졸업자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 유아교사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 관계에서 자기탄력성의 매개효과
- 집단따돌림 참여 역할에 따른 보편적 가치의 차이
-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아동 스마트미디어기기 의존, 집행기능 곤란, 화용언어능력의 구조적 관계 탐색
- 다문화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마이스터고등학교 창의융합교육 변인들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 탐색
- 중등학교 관리자를 위한 창의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다문화가정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와 부-자의 관계 회복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교사효능감, 아동의 학업수행능력 및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통합수업 사례
-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 현실치료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 청소년이 지각하는 과보호 양육, 자아존중감, 우울,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
-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창작동요 제재곡 분석
- 진로활동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학업효능감, 학습참여의 매개효과
-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전후 교과서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의 변화
- 생태감수성 함양을 위한 균형교양교과목 운영방안
-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유아 내재화 문제행동, 아버지 양육참여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분석
-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과 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대학교수들의 인식 중심의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