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유아 교육기관 학부모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

이용수  677

영문명
Parents’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for their Child Attending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오은순(Oh Eun-soon) 전진영(Chun Jin-ye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7호, 529~54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0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그림책 읽어주기 실태, 그림책 읽어주기 인식,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 그리고 그림책 읽어주기 인식이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영유아 학부모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는 원아들의 보호자를 말한다. 그림책 읽어주기 실태를 살펴보면 학부모는 그림책 선택을 영유아에게 주고 있으나 영유아에게 읽어주기 적었으며, 그림책 선택을 어려워하고 있다. 학부모는 그림책의 글을 읽기 전이나 읽는 중에 영유아에게 그림 볼 시간을 주고 있으며, 책 내용이 어려울 경우는 이해하기 쉽게 풀이하며 읽어 주고 있다. 또 영유아의 느낌이나 의문을 자유롭게 허용하며 그림책을 읽어주고 있다.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에 대해서는 중간 수준 이상이었다.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에는 ‘표지 읽어주기’, ‘책 중심 읽어주기’, ‘관계 중심 읽어주기’로 3가지가 있다. 그림책 읽어주기 인식이 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인식 수준이 높으면 표지 읽어주기 방식. 책 중심 읽어주기 방식, 관계 중심 읽어주기 방식이 높으며,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 전체의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책 읽어주기 인식은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책 읽어주기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학부모들에게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해 유연성을 가질 수 있는 인식과 실제 실행할 수 있는 읽어주기 방식을 소개하였다. 학부모들은 ‘표지 읽어주기’에서는 영유아에게 그림책의 호기심과 주의집중을 불러일으키며 읽어주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문학 작품의 스토리를 잘 전달하고자 하는 ‘책 중심 읽어주기’가 필요하며, 이러한 읽어주기 행위 자체는 읽어주는 이와 듣는 이 간의 관계 형성에 이바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perception and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such perception on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against parents with their child attending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young children.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Paren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re guardians of children who attend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In terms of current picture book reading patterns, even though most parents have been reading a picture book to their young child, few of them have read it in advance. In addition, they have found it hard to choose decent picture books. Parents have given their young child the time to see the pictures before or during reading. When a book was difficult, they have read it in an easy-to-understand manner, allowing their child to freely express their feeling and ask questions. Concerning the perception and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in person based on long field experiences, and they’ve been actually applicable to parents’ reading. They revealed meaningful reliability and validity. Parents’ perception of picture book reading was relatively high, and a way of picture book reading was an intermediate or higher level. There are 3 different types in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cover reading’, ‘book-oriented reading’, ‘relationship-oriented reading’. In terms of the effects of such perception on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as the perception level was high, ‘cover reading’, ‘book-oriented reading’, ‘relationship-oriented reading’ were more common. The overall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were also high. Since such perception affects the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parents should be given more chances to get information on picture books and engage in educational activ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은순(Oh Eun-soon),전진영(Chun Jin-yeong). (2020).영유아 교육기관 학부모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7), 529-549

MLA

오은순(Oh Eun-soon),전진영(Chun Jin-yeong). "영유아 교육기관 학부모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7(2020): 529-5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