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반영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및 탐구 성향 분석
이용수 480
- 영문명
- The Analysis of Contents and Inquiring Tendencie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High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 Focused on the Units of Sustainable Consump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육경민(Yuk, Kyung Mi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7호, 1143~116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4.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정교과와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학생들의 탐구력 향상을 실현할 수 있도록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8종의 ‘자원 관리와 자립’ 영역의 ‘지속 가능한 소비’ 단원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영역의 관점 및 탐구 성향을 분석하였다. 학교현장에서 기술・가정 교사들의 교과서 내용 선정 및 구성의 기초자료로 제공하며, 지속가능발전교육을 기술・가정 교과를 통해 실현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방법은 내용분석법, Romey의 교과서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은 ‘지속 가능한 소비’ 단원에 제시되고 있었으며, 전체 분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전반적으로 낮았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중 사회적 지속가능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경제적 지속가능성, 사회적 지속가능성, 환경적 지속가능성의 균형 있는 제시가 필요하다. 셋째, Romey 분석 요소에서 탐구적 성향을 고르게 갖춘 교과서는 없었으며, 교과서별로 탐구적 성향이 높은 분석요소는 교과서의 활동에 대한 학생의 활동의 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looked at the relevance of home curricula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and analyzed the perspectives and inquiring tendencies of the content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sustainable consumption’ units of eight high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to realize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bility to explore. The purpose of providing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ers with base data for selecting and organizing textbooks at school is to realiz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The analysis method use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the analysis method of the textbook by Romey. As a result, first, content related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as being presented in the ‘sustainable consumption’ units, and the percentage of the total amount was generally low. Second, social sustainability was the lowest in the content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 balanced presentation of economic sustainability, social sustainability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s needed. Third, there were no textbooks that had an evenly inquiring tendencies in the Romey analysis element, and the analysis elements that had a high inquiring tendencies in each textbook were the number of students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수업전문성 연구의 대안적 관점: 적응적 전문성
- 전문대생의 그릿(Grit)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중학생의 음악극 학습 관련 2015 개정 음악교과서 내용 분석
- 재외한국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학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학부모의 학교 참여 경험, 학부모·자녀 관계 및 중학생 공동체의식 간 구조적 관계
- 간호대학생의 자기인식, 감성지능이 돌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들이 경험한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간의 차이와 흥미 분석
- 보건의료계열 기초교과목 학습법 국내 연구동향 관련 문헌 연구
- 여대생의 부모됨 동기 영향요인
-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독서 시간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민요 제재곡 분석
- 교사의 협력적 수업개선활동 참여가 교사효능감과 수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일상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여성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와 여가기술 및 생활만족의 구조모형 분석
- 턱걸이 운동의 갈고리형 스트랩 사용이 근활성치에 미치는 영향
- 결혼 가치관 함양을 위한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이 인식하는 긍정적 양육태도, 교사 친밀성, 또래 공동체 의식, 성장신념의 구조적 관계 및 성별 간 다집단 분석
- 어머니의 우울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협동학습에 관한 고등학생의 인식 연구
- 적응적 협력학습 지원을 위한 면대면 협력 그룹의 학습 과정 분석
- A tendency study on the research about Influence Factors of Chinese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 Based on 298 literatures from CNKI 2000 to 2019
- 성격5요인이 자기조절학습전략에 미치는 영향분석
- 문화체험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설계 방안 연구
- 국악교육의 삼분손익법 구조 및 황종율 고찰
- 대학생이 인지한 사회적지지,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수준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묵자 겸애(兼愛)사상에 대한 고찰: 초등도덕교육에 주는 시사
- 학습목표 모호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생애 설계와 진로 탐색 단원의 기업가정신 교육 수업자료 개발
- 영유아 교육기관 학부모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
- 간호대학생의 자기인식, 공감능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 토론에서 드러난 부적절한 태도 양상과 교육 방안 연구
- 비구어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에 대한 예비특수교사의 인식
-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유아 놀이권리인식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국내 학술지에 나타난 북한 관련 교육 분야 연구들의 정부별 연구주제 변화 동향분석
- 한국어 학습자 변인에 따른 쓰기 전략 양상 연구
- 상담전공 학부생의 진로결정부터 직업세계 진입까지의 경험 탐색
- 부모의 과잉통제가 자녀의 의사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 반영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및 탐구 성향 분석
-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소외계층 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신체언어 선정 연구
- 유아의 메타인지와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유아 사회적 능력의 매개효과
- KDB 모형을 통한 사회과 To Do 요소의 구조화
- Analysis of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Education Content in Middle and High School Health Textbooks
- 진로·취업프로그램이 이공계열 대학졸업자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 유아교사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스트레스 관계에서 자기탄력성의 매개효과
- 집단따돌림 참여 역할에 따른 보편적 가치의 차이
-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아동 스마트미디어기기 의존, 집행기능 곤란, 화용언어능력의 구조적 관계 탐색
- 다문화 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마이스터고등학교 창의융합교육 변인들 간의 구조적 영향 관계 탐색
- 중등학교 관리자를 위한 창의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다문화가정 ADHD 아동의 문제행동 감소와 부-자의 관계 회복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교사효능감, 아동의 학업수행능력 및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통합수업 사례
-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능력 향상 현실치료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 청소년이 지각하는 과보호 양육, 자아존중감, 우울,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
-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창작동요 제재곡 분석
- 진로활동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학업효능감, 학습참여의 매개효과
-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전후 교과서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의 변화
- 생태감수성 함양을 위한 균형교양교과목 운영방안
-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유아 내재화 문제행동, 아버지 양육참여와 유아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분석
-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 고등학교와 대학교의 화학과 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대학교수들의 인식 중심의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 기업 및 성인교육 글로벌화를 위한 이슈와 과제 : 세계시민교육을 중심으로
- 코칭리더십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잡크래프팅과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중년 여성의 디지털 평생교육 참여 경험의 의미와 HRD 관점의 실천 방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