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와 여가기술 및 생활만족의 구조모형 분석

이용수  326

영문명
An Analysis on Structural Model of Social Support, Leisure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of Women Leisure Sports Participa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안수운(Ahn, Soo-Wo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7호, 1061~107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0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와 여가기술 및 생활만족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신체적인 건강함 뿐 아니라 심리적인 안정감을 얻어 긍정적인 심신의 상태를 함양하도록 하여, 가정생활 뿐 아니라 사회생활에도 활력을 불어넣어 줌으로써 건전한 스포츠 문화 및 건전한 인간관계 문화를 형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9년 6월부터 12월까지 C도에 거주하며 여가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방법을 활용하여 360명을 표집하여, 설문에 응답하지 않거나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후 총 341명의 유효 표본을 확보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연구도구로는 설문지이며, 설문지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FA)과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이용하여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분석기법은 구조방정식(structure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여성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는 여가기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는 생활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여가기술은 생활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분 매개변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women leisure sports participant’s social support, leisure skills and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omen leisure sports participants who are residing in C metropolitan cities in 2019 were selected as the convenience sampling. After excluding incomplete survey forms, a total of 341 valid samples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this study a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omen leisure sports participant s social support has direct influence on leisure skills. Second, the women leisure sports participant s social support has direc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Third, the women leisure sports participant s leisure skills has direc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mediation influence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수운(Ahn, Soo-Woon). (2020).여성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와 여가기술 및 생활만족의 구조모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7), 1061-1079

MLA

안수운(Ahn, Soo-Woon). "여성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와 여가기술 및 생활만족의 구조모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7(2020): 1061-10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