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소외계층 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215

영문명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disadvantaged Gifted Education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PDF ic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엄윤재(Yoon-jae Eom) 이신동(Shin-dong L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7호, 347~37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0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언어네트워크(Semantic Network Analysis)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소외계층 영재교육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누리미디어(DBpia), 학술정보서비스(KISS)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최종 96편의 논문을 수집하였고 Biblio Data Collector의 전처리 과정을 통해 출현빈도 상위 10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연구동향 파악을 위해 언어네트워크 분석 방법이 적용되었는데 자세한 분석을 위하여 Netminer 4.4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키워드 출현빈도,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결과 가장 높게 나타난 핵심키워드는 프로그램 키워드였다. 둘째, 주제별 키워드 출현빈도 및 중심성 분석 결과 다문화 영재 영역에서는 인식 키워드가 가장 높았으며, 미성취 및 장애영재 영역에서는 학습 키워드가 가장 높았으며, 경제적 소외 영재 영역에서는 사회 키워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시기별 키워드 출현빈도 및 중심성 분석의 결과는 1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의 키워드는 학습이 가장 높았으며, 2차, 3차, 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에는 프로그램 키워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학 분야에서 새롭게 적용된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소외계층 영재교육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발전시키는데 필요한 자료와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gifted education in the underprivileged by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To this end, 96 papers were collected from the databases of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RISS), Nuri Media(DBpia), and academic information service(KISS), and the top 10 keywords of the emergence frequency were extracted through the preprocessing process of Biblio Data Collector.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 was applied. For detailed analysis, the Netminer 4.4 program was us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ey keywords that appeared the highest in the frequency of keyword appearance, degree of connection, and centrality analysis were program keyword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and centrality of keywords by theme, the recognition keywords were the highest in the area of multicultural gifted, the learning keywords were the highest in the area of underachievement and disability gifted, and the social keywords were the highest in the area of economic alienated gifted. Third, the keywords of the first comprehensive plan for the promotion of gifted education were the highest in learning, and the program keywords were the highest in the second, third, and fourth comprehensive plan for the promotion of gifte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has been newly applied in the field of pedagogy, will provide the necessary data and insights for suggesting and developing directions for the gifted education of the underprivileg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윤재(Yoon-jae Eom),이신동(Shin-dong Lee). (2020).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소외계층 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7), 347-375

MLA

엄윤재(Yoon-jae Eom),이신동(Shin-dong Lee).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소외계층 영재교육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7(2020): 347-3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