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교원학습공동체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Teachers’Learning Communities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유희경 최일선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6권 제2호, 167~19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교사의 교원학습공동체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03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20년간 RISS에 탑재된 국내 KCI 등재(후보)지 총 92편이다. 최종 선정된 연구대상 논문의 연도별, 대상별 동향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키워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주요 키워드 및 주요 키워드 간의 중심성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교원학습공동체 관련 연구의 연도별, 대상별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연도별로는, 최근 3년간(2020년부터 2022년) 연구가 56.53%였으며, 대상별로는 유치원교사가 41편을 차지하여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원학습공동체 연구와 관련된 주요 키워드의 출현 빈도, 가중치 및 N-gram 분석을 한 결과, 이 세 가지 분석의 결과는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주요 키워드는 ‘교사학습공동체’, ‘교육현장전문가’, ‘놀이중심교육과정’ 등의 순이었다. 셋째, 주요 키워드 사이의 연결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교사학습공동체’, ‘교육현장전문가’, ‘놀이중심교육과정’ 등과 같은 키워드가 연결 중심성이 높은 노드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의 교원학습공동체에 관한 향후 연구가 보다 다양한 주제로 확대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using a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The data for analysis consisted of 92 articles published in domestic KCI (Korea Citation Index) journals, including candidate journals, between 2003 and 2022, retrieved from the RISS database. Trends by year and research subjects were examin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calculations, and major keywords and their centrality within the network were examined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by year and subject, 56.53% of the studies were published in the most recent three years (2020–2022), with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focusing on kindergarten teachers (41 articles). Second, an analysis of the frequency, weighting, and N-grams for major keywords related to research on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ing communities yielded similar results, with the most prominent keywords being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educational field expert,’ and ‘play-based curriculum.’ Third, the analysis of degree centrality among the major keywords revealed that terms such as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educational field expert,’ and ‘play-based curriculum’ emerged as nodes with high centra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uture research o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for early childhood educator should be expanded to encompass a broader range of topic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희경,최일선. (2025).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교원학습공동체 연구동향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6 (2), 167-194

MLA

유희경,최일선.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교원학습공동체 연구동향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6.2(2025): 167-1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