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이 지각하는 과보호 양육, 자아존중감, 우울,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936

영문명
The effect of overprotective parenting,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aggression among Korean youth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원영(Kim Wonyoung) 김경식(Kim Kyungsi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7호, 77~10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0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청소년이 지각한 과보호 양육과 자아존중감, 우울이 공격성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조절변수로 성별을 투입하여 남녀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초4패널 중 2015년 조사된 6차 데이터(중학교 3학년) 총 2,061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부모의 양육태도를 과보호적이라 지각하는 청소년은 자아존중감이 낮고 우울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과보호 양육은 낮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통해 공격성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보호 양육이 청소년으로 하여금 자아존중감을 낮추고 이것은 우울을 경험하게 하며, 이를 통해 공격성이 유발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각 변인관계에 대한 남녀 차이를 추가적으로 살펴 본 결과, 과보호 양육이 우울로 가는 경로와 자아존중감이 우울로 가는 경로에서 남녀학생 사이에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청소년의 공격성을 줄이기 위해서는 위험요인인 과보호 양육과 우울 요인을 줄이고, 보호요인인 자아존중감 높이는데 있어 남녀 간 차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Using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s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nd Youth as a basis for our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overprotective parenting,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aggression among Korean youth. More specificall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study analyzed the sixth wave data of the KYPS which included 2,061 middle first grad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dolescents who feel overprotective parenting had a low level of self-esteem and a high level of depression. Overprotective parent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aggression mediating self-esteem and depression. That is, students who demonstrated a high level of self-esteem were less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and aggression. From the multi-group analysis, overprotective parenting appears to have a gender-differentiated effect on depression among Korean youth. Males had effect than females had not effect. Self-esteem appears to have a gender-differentiated effect on depression among Korean youth. Males had bigger effect size than femal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for parenting should be designed to address students’ internal problems by developing their self-esteem.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원영(Kim Wonyoung),김경식(Kim Kyungsik). (2020).청소년이 지각하는 과보호 양육, 자아존중감, 우울,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7), 77-103

MLA

김원영(Kim Wonyoung),김경식(Kim Kyungsik). "청소년이 지각하는 과보호 양육, 자아존중감, 우울, 공격성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7(2020): 77-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