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ing digital citizenship in young children through digital play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저자명
김수남 성영실
간행물 정보
『어린이미디어연구』제24권 제2호, 1~2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중심 교육과정 내의 디지털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디지털 시민성을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청북도 소재 K대학교 부설유치원 4세반 유아 1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학부모의 연구 동의를 받아 2023년 9월부터 12월까지 한 학기동안 유아들의 디지털 놀이를 관찰하고 기록하면서 디지털 시민성과 관련된 요소들을 탐구하였다. 자료 수집은 유아 디지털 놀이 영상 및 사진, 참여 관찰, 면담, 연구자 저널, 교육과정 관련 문서 등 유아들의 디지털 놀이 상황과 맥락을 참조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유아들의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은 디지털 문해력의 경험과 확장, 공동체 참여와 책임감 있는 행동, 자기주도적인 문제해결과정의 경험, 디지털 윤리와 안전교육의 기회, 소통과 협력의 실천으로 나타났다. 이는 디지털 놀이가 디지털 시민성 형성의 중요한 맥락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놀이중심 교육과정 내의 디지털 놀이를 통해 유아들이 미래사회 디지털 시민으로서 필요한 태도와 가치, 행동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를 위한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방향과 정책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of digital citizenship in young children through digital play experiences embedded within a play-bas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Eighteen 4-year-old children from the affiliated kindergarten of K University in Chungcheongbuk-do,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obtaining consent from the respective parents, the children were observed over one semester,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3. Qualitative data, including video and photo documentation of digital play, participant observations, teacher and child interviews, researcher journals, and curriculum-related documents, were collected. Thematic analysis revealed five key aspects of digital citizenship in young children’s digital play: (1)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digital literacy, (2) community participation and responsible behavior, (3) engagement in self-directed problem solving, (4) opportunities for learning digital ethics and safety, and (5)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digital devic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at digital play is not merely a recreational activity but also a meaningful medium for fostering digital citizenship in early childhood. The study suggests that a well-integrated digital play environment within a play-based curriculum can cultivate foundational attitudes, values, and behaviors, which are essential for young children to grow into responsible digital citizens. The findings offer valuable insights for early childhood educators, policymakers, and curriculum developers seeking to promote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from an early ag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남,성영실. (2025).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어린이미디어연구, 24 (2), 1-26

MLA

김수남,성영실. "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어린이미디어연구, 24.2(2025): 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