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자아탄력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김세정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4권 제2호, 53~7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유아 자아탄력성 관련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수집된 연구 자료는 Excel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UCINET 6를 활용하여 키워드의 출현빈도, 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 중심성 분석,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고 통합 메뉴인 Netdraw를 활용하여 그 결과를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자아탄력성 관련 연구는 2002년부터 양적 연구를 통해 주로 이루어졌으며, 유아 개인적․심리․정서 관련 변인, 부모 및 가족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유아 자아탄력성과 관련하여 높은 출현빈도를 보인 상위 키워드는 ‘모양육태도’, ‘사회적유능감’, ‘문제행동’, ‘놀이성’, ‘행복감’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출현 빈도 10위권 이내의 상위 키워드들은 네 개의 중심성 분석에서도 핵심 키워드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에고 네트워크 분석에서 ‘사회적유능감’, ‘모양육태도’, ‘문제행동’은 다른 키워드들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면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요 키워드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유아 자아탄력성과 관련된 연구들의 동향 파악을 통해 유아 자아탄력성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돕고 향후 연구의 방향성 제시했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the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Keywor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icrosoft Excel, while basic attributes, centrality, and ego network analyseis were conducted using UCINET 6, Netdraw was used to visualize the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research on the resilience of young children began in 2002 and the most research was quantitative. Most studie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resilience and parent-and family-related variables, as well as variables relate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the children. The most frequent keywords in the analyzed studies were “mother parenting attitude”, “social competence”, “problem behavior”, “playfulness”, “happiness”. the top 10 most frequent keywords were also the top keywords in the four-centrality analysis. Ego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social competence”, “mother parenting attitude”, “problem behavior”- were the main keywords that influenced other keywords. This study identified trends in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young children’s resilience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o guide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와 실천
- 유아 자아탄력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유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지도와 유아의 미디어 규칙 준수의 관계에서 미디어 조절력의 매개효과: 2023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 데이터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전문성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 토픽모델링을 통한 영아교사․유아교사 전문성 관련 연구 키워드 분석
-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의 인공지능(AI) 활용 실태 및 정책적 요구 분석
-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활용과 전문성이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양식의 보장(SDG12)을 위한 유아 업사이클링의 실행과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