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아교사의 멘토링 장학프로그램 실행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Action Study on Mentoring Supervision Program for Teachers of Infant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변선영 황해익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2호, 251~27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아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키고 영아교사를 위한 바람직한 멘토링 장학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능숙한 보육활동 수행을 위해 연구자가 20주간 영아반을 담당하고 있는 멘티교사들과 멘토링 장학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영아교사의 보육활동 측면에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멘티는 멘토링 장학프로그램을 통해 “더불어 공감하고 소통하게 되다”, “확고한 정체성과 자신감을 갖게 되다”, “아이의 눈높이에 맞는 교사가 되다”, “멘토의 경험을 통해 나를 다듬어가다”의 측면에서 점진적인 변화를 보였다. 멘토는 멘토링 장학프로그램을 통해 “협력적 리더가 되다”, “영아보육에 관한 시야가 넓어지다”, “가르치면서 한걸음 나아가다”, “객관적 시각으로 되돌아보게 되다”의 측면에서 변화를 보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mentoring supervision program for mentee teachers in charge of infant classes during a 20-week period of time in an effort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roles of infant teachers and their job performance. Infant teachers aren't usually well assisted in terms of childcare activities, and it's basically meant to analyze what changes the infant teachers would undergo in an attempt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mentoring supervision programs geared toward infant teachers. The Changes of the Mentees is First, the mentees no longer felt left out when they built mutual and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which made it possible for them to feel more happy and easily fit in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they acquir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knowhow about infant care, and they were consequently able to have their own infant care philosophy and belief. Third, they showed improvement in teaching ability while they tried to sensitively respond to infants who kept growing and changing. Fourth, they got to be attached to infants, to have a smooth communication with them and to reduce their trial and errors during job performance by applying the knowhow they acquired. The Changes of the Mentor is First, the mentor found it satisfactory to enlarge her personal relationships and acquire interpersonal skills and leadership skills while she built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mentee teachers. Second, she was able to foster her supervision skills and supporting skills in the course of informing the mentee teachers of her longtime knowhow. Third, she was able to broaden her mental and professional horizon and to acquire information on the latest trend in childcare. Fourth, she was able to look back on and review what she had learned, which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her to have a conviction about her own view of education, to have an educational belief and to attain a personal growt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지능 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다문화 유아 경험 여부에 따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오개념, 태도 및 교수효능감의 차이
- 유아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특성
- 톨스토이의 아동문학 작품 연구: 동물의 생명에 대한 등장인물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신체표현활동이 통합된 정보그림책읽기가 유아의 과학적 흥미도와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문화 간 역량 평가와 증진방안
- 수학적 요소가 있는 일상자료 활용 수학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교사의 멘토링 장학프로그램 실행연구
- 유아의 자율행동에 따른 마음이론과 자아개념의 관계
- 유아의 놀이와 사회지능과의 관계
-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에 따른 수학 교수효능감 차이
- 유아의 정서지능과 정서창의성의 관계
-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운영 실태와 좋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유치원 교육실습생이 인식한 지도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수행 간의 차이 및 실습불안∙갈등 간의 관계
- 유치원 실내공간구성의 관계론적 고찰 -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 간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 젊은 세대의 양육과 관련된 가치관에 관한 연구
- R-러닝에 대한 기관 내 인적지원수준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R-러닝 전문성
- 그림책에 나타난 미장아빔에 관한 연구
- 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 전래동화 패러디물 다시 보기: 메타인지적 관점
- 한국 전쟁기 아동문학교육 연구 - 국어 교과서와 아동잡지 수록 문학교육 제재 분석을 중심으로 -
- 전래동화가 옛이야기 전승에 미치는 영향: <반쪽이> 이야기에 대한 통시적 고찰
- 강점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심리적 안녕감과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관한 조사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