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이용수  12

영문명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alysis of Reflection Journals Collected from the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Clas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김정원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2호, 19~4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을 통하여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40명이 8주간에 걸쳐 진행된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 참여하면서 작성한 반성적 저널을 지속적인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본 연구의 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 참여하면서 유아다문화교육의 실천 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의 교육적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좋은 그림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학습자인 유아들의 문화적 유능감을 향상시키고 유아교사 자신들의 문화적 반응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자료임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다문화교육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다문화 유아들뿐만 아니라 주류문화 유아들을 모두 교육의 대상에 포함시켜야 하며 교육의 목적도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유아들이 서로의 문화를 진정으로 이해하고 수용함으로써 정의와 평화가 공존하는 사회를 이루는 것이라고 인식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자신을 돌아보는 과정을 통하여 편견을 인식한 후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시작으로 다문화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인 정의와 평화가 공존하는 사회를 이루기 위한 유아교사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flection journals collected from 'the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cla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 pre-service tea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 education in N-gu, Seoul, Korea. To analyze th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heir reflection journa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ir views on multicultural picture books, stud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rol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appreciated the value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as teaching materials in the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lso for increasing their own cultural responsiveness.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all the children in our society ought to be students of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not only the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but also the children in the mainstream culture. An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obtained useful ideas for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the pre-service teachers cam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s role in a quality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원. (2013).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 (2), 19-42

MLA

김정원. "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2(2013): 19-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