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실내공간구성의 관계론적 고찰 -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 간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이용수 7
- 영문명
- The Discourse and Meaning of Space Construction in Kindergarten, Focused on Social Interaction Among Young Children in Free-choice Activitie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권선영 정지현 김경은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2호, 395~42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의 실내공간구성 원리를 고찰해 보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공간구성에 따른 유아들의 자유선택활동 시 유아간의 활동 및 상호작용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유치원의 교실공간과 유아의 사회적 관계와의 관련성 및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유치원 교실공간의 교육적 가치와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유치원 4곳을 선정하여 유아들의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중심으로 동영상 촬영과 각 기관의 유아 8명, 교사 4명과의 면담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유치원의 공간구성에 따라 유아들은 공간을 명확한 경계를 가진 공간과 느슨한 경계를 가진 공간, 성취지향적인 공간과 대인관계 지향적인 공간. 의식과 무의식적인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공간은 다양한 이미지와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목적에 충실한 절대적인 공간의 의미뿐만 아니라 관계론적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아동중심과 발달에 적합한 공간구성 원리는 하나의 전통적인 원리로만 이루어질 수 없으며, 유치원의 실내공간구성은 유아들의 소통이 가능한 장소로서의 교실 공간 의미로 재해석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meaning of activities and interaction among young children according to space construction of various programs in free-choice activities. Tha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d meaning between classroom' space and social relation of young children, and to study the educational value and meaning of classroom space in kindergarten.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8 young children and 4 teachers of 4 kindergartens situated in Busan.. The data was analysed by in-depth interview of the young children and teachers and recordings of free-choice activities in the kindergarten carrying each program.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recognized space according to space construction in kindergarten as the space with a well-defined or loose-defined boundary, and aim of achievement or personal relations, and conscious or unconscious influence. That is, space has various images and meaning, and not only meaning for purpose but also meaning for human relations. In conclusion, th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inciple of space construction is impossible to contain by a traditional that. 〔I don’t understand this sentence.〕Therefore, we suggest that space construction in kindergarten could do with reinterpretation as a meaningful of place of communication among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지능 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다문화 유아 경험 여부에 따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오개념, 태도 및 교수효능감의 차이
- 유아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특성
- 톨스토이의 아동문학 작품 연구: 동물의 생명에 대한 등장인물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신체표현활동이 통합된 정보그림책읽기가 유아의 과학적 흥미도와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문화 간 역량 평가와 증진방안
- 수학적 요소가 있는 일상자료 활용 수학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교사의 멘토링 장학프로그램 실행연구
- 유아의 자율행동에 따른 마음이론과 자아개념의 관계
- 유아의 놀이와 사회지능과의 관계
-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에 따른 수학 교수효능감 차이
- 유아의 정서지능과 정서창의성의 관계
-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운영 실태와 좋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유치원 교육실습생이 인식한 지도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수행 간의 차이 및 실습불안∙갈등 간의 관계
- 유치원 실내공간구성의 관계론적 고찰 -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 간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 젊은 세대의 양육과 관련된 가치관에 관한 연구
- R-러닝에 대한 기관 내 인적지원수준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R-러닝 전문성
- 그림책에 나타난 미장아빔에 관한 연구
- 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 전래동화 패러디물 다시 보기: 메타인지적 관점
- 한국 전쟁기 아동문학교육 연구 - 국어 교과서와 아동잡지 수록 문학교육 제재 분석을 중심으로 -
- 전래동화가 옛이야기 전승에 미치는 영향: <반쪽이> 이야기에 대한 통시적 고찰
- 강점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심리적 안녕감과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관한 조사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