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운영 실태와 좋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용수 7
- 영문명
- A Study on Large-Group Discourse, and Th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Good Teaching for Large-Group Discours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강민정 한선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2호, 423~43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운영 실태와 좋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운영 실태는 첫째, 이야기나누기 과정 중 ‘이야기나누기 시간을 마무리하고 다음 활동에 대하여 알린다’가 평균 3.3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목표에 부합하는 내용으로 진행한다’,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여 유아의 지식과 경험을 확장한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목표를 고려하여 종합 정리한다’, ‘내용에 따라 발문의 유형을 적절하게 구사한다’ 부분이 다른 항목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둘째, 82.1%의 교사가 다른 활동에 비해 이야기나누기 수업을 어렵게 느끼고 있었으며, 이야기나누기 수업 과정 중 42.4%가 전개 단계를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대한 평가를 ‘가끔 한다’가 53.1%, ’자주 한다‘가 27.5%로 나타났으며, 평가의 시기로 ‘매일 한다’가 37.8%로 나타났다. 또한 좋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원내장학을 실시하는 유치원의 교사 일수록, 이야기나누기 수업 후 자신의 수업에 대해 평가를 자주 할수록, 이야기나누기 수업 실행 시 어려움을 덜 느낄수록 좋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arge-group discours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good teaching for large-group discourse.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kindergarten teachers. As a result, during the large-group discourse, 'teachers finish to class and let children know for the following activity' is the highest point 3.33. And show that ‘progress to conform with goal’, ‘provide information to expand the children’s knowledge and experience’. The other hand, ‘organize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the goal’. Questioning the type of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speaks’ part process was lower compared to the other items. Next, 82.1% of teachers feel difficult to the Large-Group discourse than other activities, 42.4% of teachers feel difficult for proceeding step to the Large-Group discourse. Thirdly, evaluate 53.1% is “sometimes”, 27.5% is “very often” and 37.8% is “every day”. And they performe Good Teaching for Large-Group discourse, when they try to participate kindergarten-based supervision, make them less difficulty and accomplish to evaluate often after the Large-Group discours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지능 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다문화 유아 경험 여부에 따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오개념, 태도 및 교수효능감의 차이
- 유아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특성
- 톨스토이의 아동문학 작품 연구: 동물의 생명에 대한 등장인물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신체표현활동이 통합된 정보그림책읽기가 유아의 과학적 흥미도와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문화 간 역량 평가와 증진방안
- 수학적 요소가 있는 일상자료 활용 수학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교사의 멘토링 장학프로그램 실행연구
- 유아의 자율행동에 따른 마음이론과 자아개념의 관계
- 유아의 놀이와 사회지능과의 관계
-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에 따른 수학 교수효능감 차이
- 유아의 정서지능과 정서창의성의 관계
-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운영 실태와 좋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유치원 교육실습생이 인식한 지도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수행 간의 차이 및 실습불안∙갈등 간의 관계
- 유치원 실내공간구성의 관계론적 고찰 -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 간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 젊은 세대의 양육과 관련된 가치관에 관한 연구
- R-러닝에 대한 기관 내 인적지원수준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R-러닝 전문성
- 그림책에 나타난 미장아빔에 관한 연구
- 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 전래동화 패러디물 다시 보기: 메타인지적 관점
- 한국 전쟁기 아동문학교육 연구 - 국어 교과서와 아동잡지 수록 문학교육 제재 분석을 중심으로 -
- 전래동화가 옛이야기 전승에 미치는 영향: <반쪽이> 이야기에 대한 통시적 고찰
- 강점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심리적 안녕감과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관한 조사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