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러닝에 대한 기관 내 인적지원수준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R-러닝 전문성
이용수 0
- 영문명
- Kindergarten Teachers’ R-learning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Level of Organizational Personnel Support for R-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연승 정지현 강민정 박선미 김창환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2호, 487~51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관 내 R-러닝에 대한 인적지원수준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R-러닝 전문성의 차이를 검증하고 그 차이의 양상과 R-러닝 전문성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로봇을 활용하고 있는 유치원 교사 4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들 중 교사 6인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주 자료원으로 하는 질적 분석을 통해 지원수준에 따른 R-러닝 전문성의 차이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R-러닝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의 전체 평균은 2.94, 기관 내 R-러닝 인적 지원 수준은 평균 2.8로 보통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내 인적 지원의 상, 하 집단 수준에 따라 R-러닝 전문성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하위 요인별로는 지식과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유치원 기관 내 인적지원수준에 따라 상∙하위 집단에 해당하는 유치원 교사의 R-러닝 전문성에 대해 심층면담을 실시한 결과, 집단에 따라 피봇(pivot) 교사로서의 역할과 내적 동기, 교사 역할의 확장에 따른 전문성, 교사 임파워먼트를 통한 원장 리더십의 측면에서 서로 상이한 양상과 특정한 의미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교수적 역할로부터 확장된 R-러닝 교사 전문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실천, 원장의 효과적인 리더십 발휘가 R-러닝 교사 전문성 신장을 촉진시키는 기관 내 주요 인적지원 요소로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y possible differences among kindergarten teachers in R-learning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level of organizational personnel support related to R-learning. It's basically meant to shed light on the aspects of the differences and the significance of professionalis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34 kindergarten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using robot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teachers,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teachers selected from among the original study group. When the survey data and the in-depth interview data were gathered, a qual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to look for differences in R-learning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level of support from diverse ang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got a mean of 2.94 and 2.38 in R-learning professionalism and the level of relevant organizational personnel support respectively, which were both on average. Second, whether the level of organizational personnel support was high or low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to R-learning professionalism. Among the sub-factors of R-learning professionalis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and attitude. Third, when two group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who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personnel support were interviewed in depth to find out their R-learning professionalism,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who were given a high level of organizational personnel support and the others who were not in role performance as pivot teachers, intrinsic motivation and extended professionalism, The two groups were also different in teacher empowerment, an indicator of principal leadership. In addition, there were particular meanings in their difference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several factors were discussed as major elements of organizational personnel support that could step up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The way of looking at extended R-learning professionalism should be changed, and is required to enhance the extended R-learning professionalism of teachers. Besides, principals should exert their leadership in an effective way to boost the R-learning professionalism of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지능 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다문화 유아 경험 여부에 따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오개념, 태도 및 교수효능감의 차이
- 유아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특성
- 톨스토이의 아동문학 작품 연구: 동물의 생명에 대한 등장인물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신체표현활동이 통합된 정보그림책읽기가 유아의 과학적 흥미도와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문화 간 역량 평가와 증진방안
- 수학적 요소가 있는 일상자료 활용 수학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교사의 멘토링 장학프로그램 실행연구
- 유아의 자율행동에 따른 마음이론과 자아개념의 관계
- 유아의 놀이와 사회지능과의 관계
-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에 따른 수학 교수효능감 차이
- 유아의 정서지능과 정서창의성의 관계
-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운영 실태와 좋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유치원 교육실습생이 인식한 지도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수행 간의 차이 및 실습불안∙갈등 간의 관계
- 유치원 실내공간구성의 관계론적 고찰 -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 간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 젊은 세대의 양육과 관련된 가치관에 관한 연구
- R-러닝에 대한 기관 내 인적지원수준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R-러닝 전문성
- 그림책에 나타난 미장아빔에 관한 연구
- 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 전래동화 패러디물 다시 보기: 메타인지적 관점
- 한국 전쟁기 아동문학교육 연구 - 국어 교과서와 아동잡지 수록 문학교육 제재 분석을 중심으로 -
- 전래동화가 옛이야기 전승에 미치는 영향: <반쪽이> 이야기에 대한 통시적 고찰
- 강점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심리적 안녕감과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관한 조사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