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자율행동에 따른 마음이론과 자아개념의 관계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Autonomous Behavior and Their Theory of Mind and Self-Concept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오선영 이용주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2호, 311~33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자율행동이 사회인지 변인인 마음이론과 자아개념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유아 성별에 따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Y시 7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93명을 대상으로 교사가 평정하는 유아용 자율행동 검사도구와 개별면접을 통해 마음이론과 자아개념 검사를 실시하고 상관관계 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통해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자율행동과 마음이론의 관계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자율행동과 마음 이론에서는 남아와 여아 모두 통계적으로 의의가 없었다. 둘째, 유아의 자율행동과 자아개념 간에는 전체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아는 사회적 자아에서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아는 학문적 자아와 가족 자아에서 다소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autonomous behavior and their theory of mind and self-concept according to gender. Subjects were ninety-three five-year-old children at seven child-care centers in Y city. Data was obtained by the teachers marking the young children's autonomous behavior rating scale and through interviews asking their theory of mind and self-concep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autonomous behavior and their theory of mind. With regards to gend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with respect to autonomous behavior and theory of mind.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autonomous behavior and their self-concept. In terms of the gender, boys' social self-concept was related significantly while girls' academic and family self-concepts were related significantly among autonomous behavior and the sub-areas of self-concept.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지능 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다문화 유아 경험 여부에 따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오개념, 태도 및 교수효능감의 차이
- 유아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특성
- 톨스토이의 아동문학 작품 연구: 동물의 생명에 대한 등장인물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신체표현활동이 통합된 정보그림책읽기가 유아의 과학적 흥미도와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문화 간 역량 평가와 증진방안
- 수학적 요소가 있는 일상자료 활용 수학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교사의 멘토링 장학프로그램 실행연구
- 유아의 자율행동에 따른 마음이론과 자아개념의 관계
- 유아의 놀이와 사회지능과의 관계
-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에 따른 수학 교수효능감 차이
- 유아의 정서지능과 정서창의성의 관계
-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운영 실태와 좋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유치원 교육실습생이 인식한 지도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수행 간의 차이 및 실습불안∙갈등 간의 관계
- 유치원 실내공간구성의 관계론적 고찰 -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 간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 젊은 세대의 양육과 관련된 가치관에 관한 연구
- R-러닝에 대한 기관 내 인적지원수준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R-러닝 전문성
- 그림책에 나타난 미장아빔에 관한 연구
- 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 전래동화 패러디물 다시 보기: 메타인지적 관점
- 한국 전쟁기 아동문학교육 연구 - 국어 교과서와 아동잡지 수록 문학교육 제재 분석을 중심으로 -
- 전래동화가 옛이야기 전승에 미치는 영향: <반쪽이> 이야기에 대한 통시적 고찰
- 강점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심리적 안녕감과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관한 조사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