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 유아 경험 여부에 따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오개념, 태도 및 교수효능감의 차이
이용수 3
- 영문명
- A difference in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misconceptions, attitudes and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teaching multicultural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규림 김영옥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2호, 181~20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다문화 유아 경험의 유무가 다문화교육에 대한 오개념 및 태도,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장의 유아교사 341명에게 다문화 유아를 담당해 본 경험이 있는지 물었으며 다문화교육 오개념과 태도,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를 배부하여 회수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교육 태도에서 다문화 유아 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를 보였고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경험 유무에 따라 전체 점수와 수업기능 효능감은 차이가 있었으나 일반기능 효능감과 인간관계 효능감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오개념은 다문화 유아 경험 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경험이 유아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편견, 교수방법 및 태도 등 교사변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깊이 있는 탐색이 필요함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misconceptions, attitudes and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teaching multicultural children. For this, questionnaires on multicultural misconceptions, attitudes and teaching efficacy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341 early childhood teache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9.0 Program: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ulticultural attitud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teaching multicultural children. Second, in the case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otal scores and instructional function efficac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experience teaching multicultural children. But general life efficacy and human relations efficacy were not different. Third, it revealed that multicultrual misconceptions were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a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지능 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다문화 유아 경험 여부에 따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오개념, 태도 및 교수효능감의 차이
- 유아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특성
- 톨스토이의 아동문학 작품 연구: 동물의 생명에 대한 등장인물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신체표현활동이 통합된 정보그림책읽기가 유아의 과학적 흥미도와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문화 간 역량 평가와 증진방안
- 수학적 요소가 있는 일상자료 활용 수학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교사의 멘토링 장학프로그램 실행연구
- 유아의 자율행동에 따른 마음이론과 자아개념의 관계
- 유아의 놀이와 사회지능과의 관계
-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에 따른 수학 교수효능감 차이
- 유아의 정서지능과 정서창의성의 관계
-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운영 실태와 좋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유치원 교육실습생이 인식한 지도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수행 간의 차이 및 실습불안∙갈등 간의 관계
- 유치원 실내공간구성의 관계론적 고찰 -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 간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 젊은 세대의 양육과 관련된 가치관에 관한 연구
- R-러닝에 대한 기관 내 인적지원수준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R-러닝 전문성
- 그림책에 나타난 미장아빔에 관한 연구
- 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 전래동화 패러디물 다시 보기: 메타인지적 관점
- 한국 전쟁기 아동문학교육 연구 - 국어 교과서와 아동잡지 수록 문학교육 제재 분석을 중심으로 -
- 전래동화가 옛이야기 전승에 미치는 영향: <반쪽이> 이야기에 대한 통시적 고찰
- 강점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심리적 안녕감과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관한 조사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