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정서지능과 정서창의성의 관계
이용수 7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Creativit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수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2호, 331~34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지능과 정서창의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정서지능에 대한 정서창의성의 설명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D시와 G도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18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유아의 교사에게 정서지능과 정서창의성의 질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요인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 검사는 6개 요인의 41개 문항, 정서창의성검사는 4개 요인의 22개 문항으로 선정되었다. 둘째, 정서지능과 정서창의성 전체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하위요인별로 정적 혹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창의성의 요인은 솔직성, 효율성, 준비성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정서지능과 정서창의성이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현대 사회에서 강조하고 있는 유아 정서교육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creativity. Subjects were 185 children aged 5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D and G areas. Instruments for the study were the tes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creativity for young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actor analyse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st of emotional intelligence were selected 6 factors consisting of 41-items and the test of emotional creativity were selected 4 factors consisting of 22-item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al creativity for young children. Third, the authenticity of emotional creativity was the best predictor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지능 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다문화 유아 경험 여부에 따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오개념, 태도 및 교수효능감의 차이
- 유아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특성
- 톨스토이의 아동문학 작품 연구: 동물의 생명에 대한 등장인물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신체표현활동이 통합된 정보그림책읽기가 유아의 과학적 흥미도와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문화 간 역량 평가와 증진방안
- 수학적 요소가 있는 일상자료 활용 수학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교사의 멘토링 장학프로그램 실행연구
- 유아의 자율행동에 따른 마음이론과 자아개념의 관계
- 유아의 놀이와 사회지능과의 관계
-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에 따른 수학 교수효능감 차이
- 유아의 정서지능과 정서창의성의 관계
-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운영 실태와 좋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유치원 교육실습생이 인식한 지도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수행 간의 차이 및 실습불안∙갈등 간의 관계
- 유치원 실내공간구성의 관계론적 고찰 -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 간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 젊은 세대의 양육과 관련된 가치관에 관한 연구
- R-러닝에 대한 기관 내 인적지원수준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R-러닝 전문성
- 그림책에 나타난 미장아빔에 관한 연구
- 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 전래동화 패러디물 다시 보기: 메타인지적 관점
- 한국 전쟁기 아동문학교육 연구 - 국어 교과서와 아동잡지 수록 문학교육 제재 분석을 중심으로 -
- 전래동화가 옛이야기 전승에 미치는 영향: <반쪽이> 이야기에 대한 통시적 고찰
- 강점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심리적 안녕감과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관한 조사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