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강점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심리적 안녕감과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Strengths-Based Literatherapy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Reduction of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the Victims Who Have Been Bullied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세나 김춘경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2호, 157~18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강점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심리적 안녕감과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재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피해아동을 선별하여 프로그램 실시, 비실시 집단에 각각 10명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연구목적에 맞는 그림책 5권을 선정하고, 참여 아동들의 대표강점을 찾고, 긍정적 경험 글쓰기와 동화다시쓰기를 책 만들기와 접목하여 2012년 7월부터 8월까지 주 2회 80분간, 총 12회기를 실시 집단에 강점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같은 기간 동안 비실시 집단에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종료 시점에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5주 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강점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심리적 안녕감 향상과 내면화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추후에도 지속되었다.
영문 초록
For the study, I performed the Bully/Victim Questionnaire of Olweus (1989) on 346 children who were 5th and 6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of the pretest, 20 children were selected. 10 children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s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for the strengths-based literatherapy program. No measures were taken for the control group. The strengths-based literatherapy program consisted of 12 sessions. Two sessions were performed every week and each session took approximately 80 minutes. The pretest was performed before the program, the posttest was done at the final session and a follow-up test was done five weeks after the program ended. After the program,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observed and verified as follow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ffects of this program lasted after the program . Also, the behavior problems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ffects of this program lasted.. In conclusion, we can consider that this strengths-based literatherapy program is effective to enhanc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ubjects who have been bullied, and to reduce the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the victimized children. Also, the effects lasted after the post-test.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to apply the strengths-based literatherapy to victimized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지능 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다문화 유아 경험 여부에 따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오개념, 태도 및 교수효능감의 차이
- 유아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특성
- 톨스토이의 아동문학 작품 연구: 동물의 생명에 대한 등장인물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신체표현활동이 통합된 정보그림책읽기가 유아의 과학적 흥미도와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문화 간 역량 평가와 증진방안
- 수학적 요소가 있는 일상자료 활용 수학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교사의 멘토링 장학프로그램 실행연구
- 유아의 자율행동에 따른 마음이론과 자아개념의 관계
- 유아의 놀이와 사회지능과의 관계
-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에 따른 수학 교수효능감 차이
- 유아의 정서지능과 정서창의성의 관계
-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운영 실태와 좋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유치원 교육실습생이 인식한 지도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수행 간의 차이 및 실습불안∙갈등 간의 관계
- 유치원 실내공간구성의 관계론적 고찰 -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 간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 젊은 세대의 양육과 관련된 가치관에 관한 연구
- R-러닝에 대한 기관 내 인적지원수준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R-러닝 전문성
- 그림책에 나타난 미장아빔에 관한 연구
- 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 전래동화 패러디물 다시 보기: 메타인지적 관점
- 한국 전쟁기 아동문학교육 연구 - 국어 교과서와 아동잡지 수록 문학교육 제재 분석을 중심으로 -
- 전래동화가 옛이야기 전승에 미치는 영향: <반쪽이> 이야기에 대한 통시적 고찰
- 강점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심리적 안녕감과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관한 조사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