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래동화 패러디물 다시 보기: 메타인지적 관점

이용수  6

영문명
A Rethinking of Parodies of Fairy tales: A Meta-cognitive Psychological P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조희숙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2호, 81~9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전래동화의 패러디물이 어떻게 아동들에게 소통되는지, 기호학 및 인지과정의 체계 속에서 어떤 심리적 기능을 하면서 향유될 수 있는지 탐색해 보았다. 이런 과정을 위해 먼저 원텍스트인 전래동화가 지닌 단순성과 몰입성, 그리고 반복성이라는 특성이 어린 독자들로 하여금 이의 패러디물인 하이퍼텍스트를 보다 쉽게 다루고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그런 다음 어린 독자가 이런 전래동화 패러디물을 소통하는 방법으로 Peirce의 가추법과 이를 토대로 한 Eco의 추론적 산책 개념을 적용, Barthes의 ‘읽는 텍스트’로서 패러디물이 어떻게 이들에게 수용될 수 있는지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이런 전 소통 과정이 어린 독자들의 메타인지적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과정임을 결론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전래동화패러디물이 갖는 심리적 가치와 의의를 찾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function and the effects of parodies of fairy tales on children's metacognitive developments. First of all,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fairy tales were interpreted in terms of their simplicity, absorbedness, and repetitiousness. From this perspective, the parodies of fairy tales were prospected as proper hypertexts for young children to play and interact with because of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hypertexts. Then, the methods of communication between readers and parodies were explored with a couple of semiotic theories including the concepts of abduction (C. Peirce), 'inferential walks' (U. Eco) and text reading theory of Roland Barthes. So, all of the procedures of communication between parody texts and young reader can be viewed as the reader's activating process for the reader's meta-cog

목차

I. 전래동화의 특성
Ⅱ. 패러디의 의미와 소통과정
Ⅲ. 패러디 경험효과: 메타인지 역량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희숙. (2013).전래동화 패러디물 다시 보기: 메타인지적 관점.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 (2), 81-95

MLA

조희숙. "전래동화 패러디물 다시 보기: 메타인지적 관점."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2(2013): 81-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