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적 요소가 있는 일상자료 활용 수학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
- 영문명
- The Effects of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ctivity with Common Living Materials based on Mathematical Element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s 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숙 이은형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2호, 221~24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학적 요소가 있는 일상자료 활용 수학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교육현장에서 수학적 과정기술 접근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40명을 연구대상으로 실험집단 20명과 비교집단 20명으로 나누어 2012년 4월 4일부터 2012년 7월 18일까지 주 1회씩 총 14주에 걸쳐 활동을 적용하였다. 활동 적용 후 수학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유아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수학표상활동을 전개하는지 전사한 자료를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 유아의 수학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수학적 요소가 있는 일상자료 활용 수학표상활동과정에서 규칙성, 측정, 공간과 도형, 수와 연산의 수학 개념에 따른 특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일상자료 활용 수학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 능력 증진에 긍정적이라는 결과와 함께 유아수학교육에 있어 표상활동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ctivity with common living materials based on mathematical elements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s abilities. This was applied to 4-year-old children who were examined 1 time every week for 14 weeks: twenty 4-year children were an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 4-year children were a control gro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t-test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total score of children's mathematical concepts. Second, the process of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ctivity with common living materials based on mathematical elements show that young children are the characteristics of "pattern", measurement", "geometry and spatial sense", "number and operations" In conclusion,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ctivity with common living materials based on mathematical elements is very effective for young children's mathematics abilities and helpful for using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ctivity.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지능 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다문화 유아 경험 여부에 따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오개념, 태도 및 교수효능감의 차이
- 유아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특성
- 톨스토이의 아동문학 작품 연구: 동물의 생명에 대한 등장인물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신체표현활동이 통합된 정보그림책읽기가 유아의 과학적 흥미도와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문화 간 역량 평가와 증진방안
- 수학적 요소가 있는 일상자료 활용 수학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교사의 멘토링 장학프로그램 실행연구
- 유아의 자율행동에 따른 마음이론과 자아개념의 관계
- 유아의 놀이와 사회지능과의 관계
-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에 따른 수학 교수효능감 차이
- 유아의 정서지능과 정서창의성의 관계
-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운영 실태와 좋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유치원 교육실습생이 인식한 지도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수행 간의 차이 및 실습불안∙갈등 간의 관계
- 유치원 실내공간구성의 관계론적 고찰 -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 간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 젊은 세대의 양육과 관련된 가치관에 관한 연구
- R-러닝에 대한 기관 내 인적지원수준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R-러닝 전문성
- 그림책에 나타난 미장아빔에 관한 연구
- 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 전래동화 패러디물 다시 보기: 메타인지적 관점
- 한국 전쟁기 아동문학교육 연구 - 국어 교과서와 아동잡지 수록 문학교육 제재 분석을 중심으로 -
- 전래동화가 옛이야기 전승에 미치는 영향: <반쪽이> 이야기에 대한 통시적 고찰
- 강점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심리적 안녕감과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관한 조사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