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에 나타난 미장아빔에 관한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Mise En Abyme in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탁정화 강현미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2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에 나타난 미장아빔의 역할에 대해 봄으로써 그림책에 나타난 액자식 텍스트에 주목하여 특성을 밝히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미장아빔의 특성이 반영된 그림책 8권을 선정하였으며 해석학적 순환과정을 통하여 미장아빔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미장아빔은 주인공의 심리적 상태를 반영하는 거울의 역할, 가상과 현실을 넘나들며 또 다른 이야기 공간으로 확장하는 매개체로서의 역할과 그림책 주인공이 작가나 독자를 만날 수 있는 통로로서의 역할, 독자가 사전 지식과 경험, 기대에 따라 새로운 의미를 추출하고 유희성과 흥미를 자극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미장아빔은 그림책을 읽는 과정에서 하나의 텍스트로써 독자가 적극적으로 그림책의 의미를 구성해야하는 필요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유희성과 상상력을 자극하는 요소로서 그림책에 나타난 미장아빔에 대한 역할의 재조명이 이루어지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oles of mise en abyme in picture books. It's specifically meant to focus on the visual image of mise en abyme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frame texts in picture books. Eight picture books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mise en abyme were found were selected, and the hermeneutic circle was adopted to have an understanding of its rol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Mise en abyme functioned as a mirror to show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main characters, and also served as a medium to cover both an imaginary world and the real world to extend the sphere of story. In addition, it functioned as a route by which the main characters could encounter the writers or readers, and served to stimulate readers to construct a new meaning based on their prior knowledge, experience or expectations and stir up their playfulness and interest. The findings of the study on mise en abyme suggest that readers should construct the meaning of a picture book as a text while they read it,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n opportunity to shed new light on the roles of mise en abyme as a factor to stimulate playfulness and imagin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지능 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다문화 유아 경험 여부에 따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오개념, 태도 및 교수효능감의 차이
- 유아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특성
- 톨스토이의 아동문학 작품 연구: 동물의 생명에 대한 등장인물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신체표현활동이 통합된 정보그림책읽기가 유아의 과학적 흥미도와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문화 간 역량 평가와 증진방안
- 수학적 요소가 있는 일상자료 활용 수학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교사의 멘토링 장학프로그램 실행연구
- 유아의 자율행동에 따른 마음이론과 자아개념의 관계
- 유아의 놀이와 사회지능과의 관계
-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에 따른 수학 교수효능감 차이
- 유아의 정서지능과 정서창의성의 관계
-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운영 실태와 좋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유치원 교육실습생이 인식한 지도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수행 간의 차이 및 실습불안∙갈등 간의 관계
- 유치원 실내공간구성의 관계론적 고찰 -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 간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 젊은 세대의 양육과 관련된 가치관에 관한 연구
- R-러닝에 대한 기관 내 인적지원수준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R-러닝 전문성
- 그림책에 나타난 미장아빔에 관한 연구
- 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 전래동화 패러디물 다시 보기: 메타인지적 관점
- 한국 전쟁기 아동문학교육 연구 - 국어 교과서와 아동잡지 수록 문학교육 제재 분석을 중심으로 -
- 전래동화가 옛이야기 전승에 미치는 영향: <반쪽이> 이야기에 대한 통시적 고찰
- 강점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심리적 안녕감과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관한 조사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