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전쟁기 아동문학교육 연구 - 국어 교과서와 아동잡지 수록 문학교육 제재 분석을 중심으로 -
이용수 10
- 영문명
-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During the Korean War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박영기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2호, 137~15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쟁기(1950. 6. 25.~1955. 7.)는 해방기와 정부 수립기 아동문학교육의 연속적인 흐름 속에서 아동문학교육의 맥을 이어가는 시기였다. 해방기의 혼란 못지않게 크나큰 정치적 변화와 처절한 전쟁의 상처를 경험하는 역사적 격동기로서 아동문학교육 또한 변혁기를 맞이하는 시기였다. 전쟁으로 인해 휴교와 개교가 반복되는 파행적인 교육의 상황 속에서 원조에 의해 제공된 교과서『국어』와 민간에서 발행된 잡지 『소년세계』, 『어린이 다이제스트』를 통해 문학교육의 맥은 끊어지지 않고 이어졌다. 이 시기 국어 교과서에는 전쟁 교과서의 특징이 나타나며 반공주의의 이념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잡지에서는 피난 학교를 탐방하여 어린이의 생활을 알려주기도 하였고, 아동문학교육과 관련된 좋은 기사들을 수록하여 활발한 아동문학교육을 진행하였고 ‘전쟁’이라는 엄정한 현실 속에서도 민간 차원에서 독서교육, 문학 교육을 담당했던 민간 운동지의 성격도 지니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war period (6/25/1950-7/1955) continued the tradition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after the last stage of the Japanese Empire and the liberation period.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was also faced with large changes because of the big political change and turbulent historical period. Although education was struggling during the war, textbooks in the Korean language, and journals, such as “Boys’ World” and “Children’s Digest”, kept the tradition of Korean literature alive.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during this period show the characteristics of war textbooks and start to show anticommunism. These journalists visited refuge schools and reported on children’s lives there. These journals also contained very active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by including good articles related to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Therefore, these journals had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journals which revealed reading education and literature education during the harsh war period.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전쟁기 아동문학교육의 기획과 전개
Ⅲ. 아동문학교육의 성과 1 - 『국어』를 중심으로
Ⅳ. 아동문학교육의 성과 -『소년세계』,『어린이 다이제스트』를 중심으로
Ⅴ. 나가는 말 - 전쟁기 아동문학교육의 의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서지능 관련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다문화 유아 경험 여부에 따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오개념, 태도 및 교수효능감의 차이
- 유아들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특성
- 톨스토이의 아동문학 작품 연구: 동물의 생명에 대한 등장인물의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 신체표현활동이 통합된 정보그림책읽기가 유아의 과학적 흥미도와 과학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문화 간 역량 평가와 증진방안
- 수학적 요소가 있는 일상자료 활용 수학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영아교사의 멘토링 장학프로그램 실행연구
- 유아의 자율행동에 따른 마음이론과 자아개념의 관계
- 유아의 놀이와 사회지능과의 관계
- 유치원 교사의 수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에 따른 수학 교수효능감 차이
- 유아의 정서지능과 정서창의성의 관계
-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운영 실태와 좋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유치원 교육실습생이 인식한 지도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수행 간의 차이 및 실습불안∙갈등 간의 관계
- 유치원 실내공간구성의 관계론적 고찰 - 자유선택활동에서의 유아 간사회적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 젊은 세대의 양육과 관련된 가치관에 관한 연구
- R-러닝에 대한 기관 내 인적지원수준에 따른 유치원 교사의 R-러닝 전문성
- 그림책에 나타난 미장아빔에 관한 연구
- 그림책활용 유아다문화교육 수업에서 표출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 분석
- 전래동화 패러디물 다시 보기: 메타인지적 관점
- 한국 전쟁기 아동문학교육 연구 - 국어 교과서와 아동잡지 수록 문학교육 제재 분석을 중심으로 -
- 전래동화가 옛이야기 전승에 미치는 영향: <반쪽이> 이야기에 대한 통시적 고찰
- 강점기반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피해아동의 심리적 안녕감과 내면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에 관한 조사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