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문제해결 역량이 취업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조절효과 검증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roblem-solving Competence on Job Preparation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최보라(Bora Choi) 김준수(Junsu Kim)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10권 제2호, 445~45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문제해결 역량이 취업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 및 상호작용 효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대학생의 문제해결 역량은 취업준비 행동에 정(+)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문제해결 역량이 높은 학생일수록 보다 체계적이고 능동적으로 구직 활동을 수행함을 시사한다. 둘째,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취업준비 행동에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셋째, 문제해결 역량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간의 상호작용 항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특히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문제해결 역량이 취업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크게 나타나, 디지털 리터러시가 문제해결 역량의 효과를 강화하는 촉진 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의 진로 및 취업교육에서 문제해결 역량과 디지털 리터러시를 통합적으로 강화할 필요성을 강조하며, 디지털 환경에서의 구직 준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교육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university students’ problem-solving competency on their job preparation behavior and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in this relationship.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The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problem-solving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suggesting that students with higher problem-solving abilities tend to engage in more systematic and proactive job search activities. Second, digital literacy competency did not have a direct significant impact on job preparation behavior. However,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blem-solving competency and digital literacy compet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fluence of problem-solving competency on job preparation behavior was stronger among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digital literacy, indicating that digital literacy plays a facilitating role in translating problem-solving competency into action.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both problem-solving and digital literacy training in university career education to effectively prepare students for the digitalized labor market.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s and policy development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중국 유학생이 인식한 또래관계와 대학교육서비스품질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예비사회복지사의 전공선택동기, 직업인식, 자기조절효능감이 전공만족도와 전공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충청북도 탄소중립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리듬기반 음악중재가 느린학습자 아동의 청각주의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우울을 매개로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 H-5AL 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보육학개론 수업이 예비보육교사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아동·청소년기 신체건강, 자존감, 사회적위축과 학업열의 간 인과관계 종단분석: 잠재성장모형분석
- 노마드 체육프로그램 참가 노인의 체력에 대한 연구
- 청소년의 그릿, 부모감독, 학업스트레스가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 예비 유아교사를 위한 AI 기반 5E 순환학습 수업모형 개발
- 헌법재판소 재판관 탄핵에 대한 제언
- 보호자 관점에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자기옹호가 거주유형 선택에 미치는 영향
- 재취업 산재근로자의 자아효능감 유형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 영화 ‘그대를 사랑합니다’의 내용분석을 통한 노년기 삶의 질 및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
- 노인의료복지시설 만족도 영향 요인: 시설 규모에 따른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n-Flight Security Personnel
- AI시대의 영성윤리 교육에 관한 연구: 도덕적 분별력을 중심으로
- 위기가구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경제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노동권 보장인식 영향요인
- 대학 성인 학습자의 K-MOOC 학습 경험과 의미에 관한 고찰
- 사회 공정성 및 공정성 유형 인식과 집단 간 불평등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 성인 학습자의 진학동기와 교육만족도가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대체인력지원사업 이용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 다문화 아동 부모의 부모효능감 유형과 예측 변인 - 아동의 학교적응과의 차이 검증
- 한국 청소년의 범불안장애(GAD)가 신체 발달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학습역량과 진로준비도의 이중매개효과
- 노인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viation Security Screening Officers
- 청년 1인 가구의 자살사고 영향 요인 분석: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표본 자료 활용
- 대학생의 문제해결 역량이 취업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조절효과 검증
- 일·가정 양립을 위한 지자체 양육지원서비스에 대한 부모요구분석
- 과정중심 영어글쓰기 활동에서의 AI 피드백 활용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