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Infant Teachers’ Perception of the Need for Teacher Training Programs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 Identity: Based on Focused Group Interview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저자명
- 윤춘옥 방은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제24권 제2호, 99~12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영아반 교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주제 분석 방법을 통해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영아반 교사들은 자신의 직업에 대해 ’영아와 교사가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직업’, ‘영아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직업’, ‘정신적․신체적 소모가 커 소진되기 쉬운 직업’, ‘전문성을 반드시 갖춰야 하는 직업’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에서 교육 내용은 ‘일의 의미’, ‘직업과 소명’, ‘영아반 교사로서의 정체성 알기’, ‘영아반 교사 자신의 성격 파악하기’, ‘긍정적 대인관계 심리 및 대화법’, ‘어린이집 조직문화 제대로 알기’, ‘직업과 윤리’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방법은 ‘영아 발달에 대한 이해와 교사 경험이 있고 보육 현장 경험 있는 직업정체성 관련 전문가’에 의한 평일 주중 퇴근 후 2시간 정도의 강의와 토론 및 실습 위주의 세미나 방식을 선호하였으며 측정 도구 및 성찰일지 등의 평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영아반 교사의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infant teachers’ perception of the need for a teacher training program to foster the awareness and development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In-depth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mong eight infant teachers and thematic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fant teachers perceived their job as a “‘-happy job where infants and teachers grow together’-”, “‘-a job that has a great impact on infants’ lives’-”, “‘-a job that is mentally and physically exhausting and can easily lead to burnout’-”, and, “‘-a job that requires expertise’.” Second, teachers believed that the following topics needed to be covered in teacher training programss to foster professional identity:, “‘-meaning of work’-”, “‘-profession and calling’,” “‘-understanding identity as an infant teacher’-,” “‘-understanding the personality of an infant teacher’-”, “‘-positive interpersonal psychology and communication skills’-”, “‘-understand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daycare centers’-”, and “‘-professions and ethics’-”. Third, the teachers preferred a seminar format of teaching-learming method, with lectures, discussions, and practice for about two hours after work on weekdays, conducted by “‘-experts in childcare fields with an understanding of infant development and experience as teachers’-”, Fourth, with regard to evaluations modes, the teachers preferred measurement tools and reflection journ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insights for developing a-teacher training programs that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infant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디지털 놀이에 나타난 디지털 시민성 탐구
-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평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이해와 실천
- 유아 자아탄력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유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부모의 지도와 유아의 미디어 규칙 준수의 관계에서 미디어 조절력의 매개효과: 2023 어린이 미디어 이용 조사 데이터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전문성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역량에 미치는 영향
- 토픽모델링을 통한 영아교사․유아교사 전문성 관련 연구 키워드 분석
-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의 인공지능(AI) 활용 실태 및 정책적 요구 분석
- 유아교사의 디지털매체 활용과 전문성이 테크놀로지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양식의 보장(SDG12)을 위한 유아 업사이클링의 실행과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