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Script Activities for AAC Communication Training on Acquisition of Communication Functions for Student with Nonverbal intellectual Disabilit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정연 김시원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4호, 625~64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을 위해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상황 중 세 가지 상황(마트, 은행, 식당)을 선정하여 상황간 중다간헐기초선 연구설계 방법을 적용하여, 의사소통 행동 습득, 일반화, 유지 효과를 관찰하였다.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훈련을 위해 시간· 인과적으로 구조화된 지역사회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의사소통 기능을 중재 한 후 학교 내 모의 체험실에서 의사소통 기능을 측정하였으며 지역사회 환경에서 일반화를 보기 위하여 매주 1회 지역사회의 세 가지 상황에서 측정하였고, 유지는 5주 후에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세 가지 상황에서 의사소통 행동이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중재 후반의 향상된 결과가 5주 후에도 안정된 유지효과를 나타내었다. 일반화에서도 중재와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하며 일반화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자발적 의사표현이 없는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이 친숙한 교실이나 가정이 아닌 지역사회에서 예측 가능한 활동을 제공하는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의사소통 행동에 효과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determine 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using script activities on communication function of student with nonverbal intellectual disability. This study provided student with non verbal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three different situations of a local community and examined the effects on communication functions,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using a method of multiple probe designs among multiple baseline across conditions. For communication training for student with nonverbal intellectual disability, their communication functions were measured at the simulation room of a school after intervention using script activities which were structured in a timely and causal manner. For determining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at a local community, their communication functions were measured once per one week and after five weeks, respectively, at three different situations. As a result, their communication functions steadily increased at three situations and the functional enhancement at the latter part of intervention was maintained even after six weeks. The result of generalization was also similar to that of intervent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AAC intervention was effective on the acquirement of communication function using situation scripts, which provide predictable activities at a local community instead of a classroom or home familiar with student both with nonverbal an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without voluntary expression of their wil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지원센터 사례관리자의 역할 결정과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지역사회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농인의 종교적 신념과 종교 활동에 관한 연구
-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구성요인 분석
- 낮은 학업성취 학생에 대한 교사의 귀인속성, 지도 효능감 및 대처 방안 간 관계 모형 개발
- 장애아동 전담보육기관의 현황과 교직원들의 현재 정체성 인식 및 미래 지향 방향
- 특수교육보조원의 초기 경험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감각조절력 및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지식과 이해 수준 분석
- 학습장애 학생의 관형사형 어미 이해 및 산출 특성 연구
- 개별화교육계획의 실제 및 교사 요구
- 손인형을 이용한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가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과 마음이론에 미치는 영향
- 아동학대에 대한 장애아동 부모와 일반아동 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 발달지체유아의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 장애청소년의 종합적 전환계획요구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
- 통합환경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학습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동기와 자기결정성동기와의 관계 연구
- 중학교 통합학급 수학수업에서 수학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실행도
-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단일대상 연구의 메타분석
- 청각장애유아 가족의 양육경험과 가족기능에 대한 연구
- 고기능자폐아의 화용론적 이해와 표현 결함 연구
- 자기교시훈련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이분모분수 가감산 문제해결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읽기학습장애 진단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CBM)의 효율적인 측정주기(Frequency) 분석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 개선 요구 분석
-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학생의 고등교육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대상자특별전형 실태 분석 및 선발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 문헌의 연구 방법 분석
- 자기점검표를 활용한 또래 도우미 지원이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 루브릭 평가를 활용한 과정중심 쓰기교수가 쓰기학습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과 쓰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 ‘자기 형성’에 관한 도덕교육의 철학적 기반 탐색: 「중용」(中庸)의 ‘성’(誠)과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자기 진실성’ 개념을 중심으로
- 동서양 사상에 기반한 인성교육 방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