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손인형을 이용한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가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과 마음이론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Using Puppets on Social Skill and Theory of Mind for Adolescent with Asperger Syndorme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경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4호, 311~33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아스퍼거 장애는 전반적 발달장애의 하위 유형으로 자폐장애와는 달리 언어적 발달이 지체되지 않고 지능이 평균에 가까운 반면 낮은 사회적 기술과 비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으로 인해 행동문제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아스퍼거 장애를 가지고 있는 고등학교 남학생 4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부족한 사회적 기술과 마음이론이 인형을 이용한 사회적 상황이야기를 통해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사회적 기술은 사회성 기능평정 척도의 사전․사후 검사로 분석되었고 마음이론은 내용교체과제와 위치이동과제, 이차틀린 믿음과제의 사전․사후 검사로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 인형을 이용한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는 아스퍼거 장애학생들의 사회적 기술을 증가시키고 마음이론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Although Asperger Syndrome(AS) has normal intelligence and verbal communication, AS is characterized by major deficits in social skil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which are the cause of behavior problems. Their problem behaviors have interrupted getting used to the surroundings. Problem behaviors was caused by the lack of social skill. Therefor, AS needs to learn social skill directly and theory of mind(To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effect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using puppet performances on AS's social skill and ToM. This study was performed four adolescents with AS. Social skill was assessed with 'social and communication rating scale' and ToM was assessed by 'Sally-Ann' task, 'Smarti' task, and 'second-order belief attribution' tas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ocial skill intervention using puppets ha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ocial skill and ToM of A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지원센터 사례관리자의 역할 결정과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지역사회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농인의 종교적 신념과 종교 활동에 관한 연구
-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구성요인 분석
- 낮은 학업성취 학생에 대한 교사의 귀인속성, 지도 효능감 및 대처 방안 간 관계 모형 개발
- 장애아동 전담보육기관의 현황과 교직원들의 현재 정체성 인식 및 미래 지향 방향
- 특수교육보조원의 초기 경험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감각조절력 및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지식과 이해 수준 분석
- 학습장애 학생의 관형사형 어미 이해 및 산출 특성 연구
- 개별화교육계획의 실제 및 교사 요구
- 손인형을 이용한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가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과 마음이론에 미치는 영향
- 아동학대에 대한 장애아동 부모와 일반아동 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 발달지체유아의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 장애청소년의 종합적 전환계획요구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
- 통합환경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학습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동기와 자기결정성동기와의 관계 연구
- 중학교 통합학급 수학수업에서 수학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실행도
-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단일대상 연구의 메타분석
- 청각장애유아 가족의 양육경험과 가족기능에 대한 연구
- 고기능자폐아의 화용론적 이해와 표현 결함 연구
- 자기교시훈련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이분모분수 가감산 문제해결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읽기학습장애 진단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CBM)의 효율적인 측정주기(Frequency) 분석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 개선 요구 분석
-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학생의 고등교육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대상자특별전형 실태 분석 및 선발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 문헌의 연구 방법 분석
- 자기점검표를 활용한 또래 도우미 지원이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 루브릭 평가를 활용한 과정중심 쓰기교수가 쓰기학습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과 쓰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Academic Tribune Vol.2 No.2 Contents
- The Granular Representation of Syntactic Cartography
- A Translation Report on English-Chinese of Smart Thinking (Excerp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