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지원센터 사례관리자의 역할 결정과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Determinants of Case Manager Roles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최세민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4호, 127~14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지원센터 사례관리자의 역할을 결정하는 요인을 탐색하고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전국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사례관리자 170명으로 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심층면담을 실시한 다음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면담내용은 전사자료를 토대로 분석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와 방법을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례관리자의 역할결정요인을 직무관련 요인, 기관 및 조직관련 요인 그리고 개인관련 요인으로 구분 하여 알아본 결과 첫째, 직무관련 요인에서는 역할인식, 역할수행, 업무특성, 업무수행능력, 업무여건, 그리고 업무인식 등이 역할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 되었다. 둘째, 기관 및 조직관련 요인에서는 기관지지, 기관풍토 그리고 기관특성 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셋째, 개인관련 요인에서는 자기 효능감, 전문성, 업무자신감 성취동기 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 되었다. 다음으로, 사례관리자의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역할 수행, 업무수행능력, 업무인식,업무여건,기관지지,기관풍토,기관특성,전문성, 업무책임감 및 성취동기 등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lanatory factors of case manager roles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by making a factor analysis among the subfactors of three selected dimensions that were expected to explain case manager roles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would be a clear distinction among the three dimension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0 case managers who worked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our country. A surve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the factors affecting job performanc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fluential factors of case manager role determination, role awareness, role performance, job characteristics, job performance skills, working conditions and job awareness were identified as the influential factors out of the job-related factors. Among the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support from the institutions, the climate of the institu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s turned out to be the influential factors. In terms of the personal factors, self-efficacy, professionalism, job confidence and achievement motivation were found to be the influential factors. Whe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grasp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performance of the case managers, job confide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s, self-efficacy and role awareness were identified as the significant explanatory factors in terms of educational support. Self-efficacy, working conditions, professionalism, job awaren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s were found to be the significant explanatory factors in terms of educational service. The climate of the institutions, support from the institutions, role awareness, professionalism and job performance skills turned out to be the significant explanatory factors in terms of vocational career guida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itutions, professionalism and job awareness were identified as the significant explanatory factors in terms of related service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지원센터 사례관리자의 역할 결정과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지역사회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농인의 종교적 신념과 종교 활동에 관한 연구
-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구성요인 분석
- 낮은 학업성취 학생에 대한 교사의 귀인속성, 지도 효능감 및 대처 방안 간 관계 모형 개발
- 장애아동 전담보육기관의 현황과 교직원들의 현재 정체성 인식 및 미래 지향 방향
- 특수교육보조원의 초기 경험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감각조절력 및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지식과 이해 수준 분석
- 학습장애 학생의 관형사형 어미 이해 및 산출 특성 연구
- 개별화교육계획의 실제 및 교사 요구
- 손인형을 이용한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가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과 마음이론에 미치는 영향
- 아동학대에 대한 장애아동 부모와 일반아동 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 발달지체유아의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 장애청소년의 종합적 전환계획요구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
- 통합환경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학습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동기와 자기결정성동기와의 관계 연구
- 중학교 통합학급 수학수업에서 수학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실행도
-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단일대상 연구의 메타분석
- 청각장애유아 가족의 양육경험과 가족기능에 대한 연구
- 고기능자폐아의 화용론적 이해와 표현 결함 연구
- 자기교시훈련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이분모분수 가감산 문제해결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읽기학습장애 진단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CBM)의 효율적인 측정주기(Frequency) 분석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 개선 요구 분석
-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학생의 고등교육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대상자특별전형 실태 분석 및 선발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 문헌의 연구 방법 분석
- 자기점검표를 활용한 또래 도우미 지원이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 루브릭 평가를 활용한 과정중심 쓰기교수가 쓰기학습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과 쓰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