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지식과 이해 수준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relationships comprehension level between curricular practical knowledge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of inclusive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권주석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4호, 23~3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학급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지식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이해 수준 차이를 분석하고 그의 관계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것은 통학학급 교사의 특수교육에 대한 책무성을 강화하고 교육과정의 이해 수준을 높일 방안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통합학급 교사 16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일원변량분석, t검증, 그리고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교사의 경력, 연수횟수, 교과연구 단체활동 유무 등은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지식을 설명하는 중요요인이었다. 둘째, 통합학급 교사의 특수교육 교육과정 이해 수준은 일반학교 교육과정 이해 수준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육과정 실천지식은 일반학교 교육과정의 이해 수준보다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이해 수준이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통합학급 교사의 특수교육 책무성을 강화하고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이해 수준을 향상시킬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relationships comprehension level between curricular practical knowledges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of inclusive teachers at elementary schools. These would be a baseline data strengthening responsibilities of special education and improving comprehension level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This subjects were 161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and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these teachers. This study materials analyzed one way ANOVA, t-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are analyze as follow. First, it was major factors to explain curricular practical knowledges that inclusive teachers' career, the number of inservice training,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academic activity. Second, curriculum comprehensive the level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was higher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a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ird, the curricular practical knowledges of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were close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a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these results, this study was come up with strengthening responsibilities of special education and improving comprehension level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주석. (2011).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지식과 이해 수준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3 (4), 23-39

MLA

권주석.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지식과 이해 수준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3.4(2011): 23-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