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통합환경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Integrated Visual Art Instruction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on Social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Middle School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임은숙 백은희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4호, 211~22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통합교육환경에서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프로그램을 7명의 정신지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Walker-McConnell 척도 검사와 사회적 상호작용행동 관찰지를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자료처리는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사전․사후검사의 유의미한 차이에 대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UDL 중재가 중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능력 향상과 사회적 상호작용행동의 빈도 증가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grated visual art instruction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UDL) on social interaction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middle school. In this study, the integrated visual art instruction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f 12 sessions was carried out, with 7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in integrated learning environment. Walker-McConnell scale test and social interaction behavior observation form were used as an inspection tool,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or data processing, there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s. SPSS programs was utilized to verify and examine research hypothesis, and t-test o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ed visual art instruction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terven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mprovement social ability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The integrated visual art instruction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terven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crease in frequency of social interaction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integrated visual art instruction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tervention has positive effects on social interaction and social competences.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tervention guarantees th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opportunitien opplearn and participen opprough active support in incluive classroo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은숙,백은희. (2011).통합환경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3 (4), 211-227

MLA

임은숙,백은희. "통합환경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3.4(2011): 211-2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