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지체유아의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on Factors Related to Inclus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Implement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지효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4호, 645~66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유아의 통합교육을 경험한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이 통합교육 경력, 소지 자격증, 통합교육 유형의 세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통합교육 상황에서 유치원 교육과정을 실행 할 때에 고려해야 할 통합교육 관련 요인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연구의 참여자는 통합교육과 유치원 교육과정을 실행해 본 경험이 있는 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들이며, 총 217명의 교사가 참여하였다. 유치원 교유과정 실행은 한 가지 요인으로 보았으며, 통합교육 관련 요인은 통합교육과 관련 있는 교사, 학부모, 유아와 같은 인적요인과 교사, 가족, 기관 간 이루어지는 협력요인,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는 환경요인의 세 가지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자료는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일원변량, 다변량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 경력에 따라서는 통합교육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있어서 교사들의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통합교육 관련 요인 전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소지 자격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세부 요인으로 분석을 한 결과, 소지 자격증의 종류에 따라서는 환경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인적요인, 협력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통합교육 유형 및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과 통합교육 유형 간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합교육 경력과 통합교육 유형은 통합교육과 유치원 교육과정의 실행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으며, 교사의 소지 자격에 따라서는 통합교육을 실행하는 인적요인, 협력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을 실행에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나타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factors for successful inclus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e factors of successful inclusion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ere extract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kindergarten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implementing inclusion curriculum. A total of 217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Each instrument for this stud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o measure the factors for successful inclusion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 statistical methods using Predictive Analytics Software(PASW) 18.0.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recognition according to teacher’s career and types on inclusion. However it appear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s recognition on personal factors, cooperation factors,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implementation factors according to teachers' certificat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효. (2011).발달지체유아의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13 (4), 645-664

MLA

이지효. "발달지체유아의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13.4(2011): 645-6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