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청소년의 종합적 전환계획요구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

이용수  0

영문명
Content Validity of Transition Planning Assess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성유진 이영선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4호, 83~10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전환요구평가의 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여 장애청소년의 전환계획을 위한 전환평가도구 개발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전환요구평가도구 4가지 (Transition Behavior Scale-2, Enderle-Severson Transition Rating Scale-Revised, LCCE Performance and Knowledge Battery, 그리고 Transition Planning Inventory-2-Revision)를 분석하고 이 도구들로부터 총 63개의 문항을 추출하여 내용타당도 검증과 문항제시/표현 방식 및 문항의 내용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해 문항의 타당도가 낮게 나타난 10개의 문항을 삭제하고 3개의 문항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새롭게 구성된 평가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 타 문항과의 중복성을 이유로 두 개의 문항이 삭제되었으며, 나머지 문항의 경우 .80이상의 높은 타당도를 보여 해당 문항들이 장애청소년의 전환요구를 진단하기에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전환요구평가도구의 표준화 과정의 전 단계로서 검사문항들의 내용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으며,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연구 및 실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tent validity of items from widely used transition needs assessments, including Transition Behavior Scale-2, Enderle-Severson Transition Rating Scale-Revised, LCCE Performance and Knowledge Battery, and Transition Planning Inventory-2-Revision, and to propose test items of transition needs assessments for transition planning of youth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evaluation. We reviewed all items from four assessments and total 63 items were chosen first and content validity index (CVI) was calculated based on CVI of the items judged by seven professionals in special education and trans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ntent validity test, transition needs assessments, comprised of total 56 items, were developed and its CVIs were above .60 averagely, and thus the items were thought to be suitable to identify transition needs of the students. A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content validity of test items as preliminary data in standardizing an transition needs assessment.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유진,이영선. (2011).장애청소년의 종합적 전환계획요구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 특수아동교육연구, 13 (4), 83-105

MLA

성유진,이영선. "장애청소년의 종합적 전환계획요구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 특수아동교육연구, 13.4(2011): 83-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