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청소년의 종합적 전환계획요구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
이용수 0
- 영문명
- Content Validity of Transition Planning Assess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성유진 이영선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4호, 83~10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전환요구평가의 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여 장애청소년의 전환계획을 위한 전환평가도구 개발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전환요구평가도구 4가지 (Transition Behavior Scale-2, Enderle-Severson Transition Rating Scale-Revised, LCCE Performance and Knowledge Battery, 그리고 Transition Planning Inventory-2-Revision)를 분석하고 이 도구들로부터 총 63개의 문항을 추출하여 내용타당도 검증과 문항제시/표현 방식 및 문항의 내용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해 문항의 타당도가 낮게 나타난 10개의 문항을 삭제하고 3개의 문항을 새롭게 추가하였다. 새롭게 구성된 평가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 결과, 타 문항과의 중복성을 이유로 두 개의 문항이 삭제되었으며, 나머지 문항의 경우 .80이상의 높은 타당도를 보여 해당 문항들이 장애청소년의 전환요구를 진단하기에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전환요구평가도구의 표준화 과정의 전 단계로서 검사문항들의 내용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으며,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연구 및 실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ntent validity of items from widely used transition needs assessments, including Transition Behavior Scale-2, Enderle-Severson Transition Rating Scale-Revised, LCCE Performance and Knowledge Battery, and Transition Planning Inventory-2-Revision, and to propose test items of transition needs assessments for transition planning of youth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evaluation. We reviewed all items from four assessments and total 63 items were chosen first and content validity index (CVI) was calculated based on CVI of the items judged by seven professionals in special education and trans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ntent validity test, transition needs assessments, comprised of total 56 items, were developed and its CVIs were above .60 averagely, and thus the items were thought to be suitable to identify transition needs of the students. A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content validity of test items as preliminary data in standardizing an transition needs assessment.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지원센터 사례관리자의 역할 결정과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지역사회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농인의 종교적 신념과 종교 활동에 관한 연구
-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구성요인 분석
- 낮은 학업성취 학생에 대한 교사의 귀인속성, 지도 효능감 및 대처 방안 간 관계 모형 개발
- 장애아동 전담보육기관의 현황과 교직원들의 현재 정체성 인식 및 미래 지향 방향
- 특수교육보조원의 초기 경험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감각조절력 및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지식과 이해 수준 분석
- 학습장애 학생의 관형사형 어미 이해 및 산출 특성 연구
- 개별화교육계획의 실제 및 교사 요구
- 손인형을 이용한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가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과 마음이론에 미치는 영향
- 아동학대에 대한 장애아동 부모와 일반아동 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 발달지체유아의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 장애청소년의 종합적 전환계획요구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
- 통합환경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학습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동기와 자기결정성동기와의 관계 연구
- 중학교 통합학급 수학수업에서 수학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실행도
-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단일대상 연구의 메타분석
- 청각장애유아 가족의 양육경험과 가족기능에 대한 연구
- 고기능자폐아의 화용론적 이해와 표현 결함 연구
- 자기교시훈련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이분모분수 가감산 문제해결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읽기학습장애 진단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CBM)의 효율적인 측정주기(Frequency) 분석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 개선 요구 분석
-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학생의 고등교육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대상자특별전형 실태 분석 및 선발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 문헌의 연구 방법 분석
- 자기점검표를 활용한 또래 도우미 지원이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 루브릭 평가를 활용한 과정중심 쓰기교수가 쓰기학습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과 쓰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Academic Tribune Vol.2 No.2 Contents
- The Granular Representation of Syntactic Cartography
- The Image of China in Irish Literature Since the 20th Centu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