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구성요인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The Analysis on Structure Factor in Teaching Performance at Special Class in the Secondary School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윤미 조인수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4호, 255~28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전국의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280명을 대상으로 교육과정과 수업의 구성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는 수업실행에 있어서 교육과정 구성체제와 운영의 필요성에 대하여 비교적 잘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수업설계와 수업실행의 중요성도 잘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는 수업 실제에서 교육과정을 절대적 기준으로 활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는 특수학급 수업실행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수업설계 방법과 수업실행 방법으로 인식한다. 이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는 교실 수업의 실행과정에서 교육과정과 수업 등의 관련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높으나, 수업실행을 위한 실제와는 차이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특수학급 수업의 구성은 다양한 장애유형의 학생을 지도하기 위하여 여러 교육과정의 기준 또는 지침보다는 수업에서의 학생 수행 능력 또는 행동의 객관적 관철에 기초한 개별화수업계획 등이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structure factor in teaching performance at special class in the secondary school. 280 teachers of the special classes in secondary school. The questionnaire which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curriculum and the other one is teaching. Also the curriculum is divided into two parts, curriculum structure 11 questions and curriculum operation 12 questions. The teaching is divided into two parts, instructional design 12 questions and teaching performance 11 questions. The results were that: (a) the special class teachers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the curriculum, however the curriculum was not utilized on the instruction performance in special class; (b) the special class teachers knew the importance of the instruction, however instruction design and the method of the teaching performance were main factors in teaching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 the special class teachers understood the importances of the corelation between curriculum and instruction, however the teachers considered the factors of the instruction design and the method of the teaching performance in teaching performance in the special class.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special class teachers in the secondary school knew that the curriculum is important, however, the teachers did not utilize the curriculum factors in the teaching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윤미,조인수. (2011).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구성요인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3 (4), 255-286

MLA

이윤미,조인수.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구성요인 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13.4(2011): 255-2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