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점검표를 활용한 또래 도우미 지원이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Use of Self-Monitoring for the Peer Support on the Inclusive Classroom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창호 박재국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4호, 583~60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기점검표를 활용한 또래 도우미 지원이 통합학급 비장애 학생들의 장애인식의 변화와 장애학생의 통합학급 내에서의 사회적 위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배치된 2명의 4학년 여학생들이 각각 속해 있는 통합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자기점검표를 활용한 또래 도우미 지원을 실시하였다. 중재의 사전, 사후에 장애 인식 설문지와 또래 지명 질문지를 통해 일반아동들의 장애인식 변화와 장애아동의 통합학급 내 사회적 위치 변화를 조사하여 t검정 결과와 표적사회도로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자기점검표를 활용한 또래 도우미 지원은 통합학급 내 장애학생들의 사회적 위치를 크게 변화시키지는 못하였으나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들의 많은 관심을 불러 일으켰으며, 장애학생을 수용하는 정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일반학생들의 장애에 대한 인식이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결론,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effect of the use of self-mornitorning for the peer support on the change of general students about the understanding of disability and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bout social position in the integration classroom. Two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same gender and 4th grade are chosen and the classroom that they belong is separated to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Peer support with self mornitoring was supplied to the treatment group, and anything was not supplied to the control group. For the check of change of the general students about understanding of disability and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bout social position in the integration classroom, questionnaire is carried out at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result of understanding of disability is recorded by T-test, and the result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bout social position in the integration classroom is drawn with the sociogram. In result, social position of the student with disabilities in the integration classroom was not changed remarkably, but the attention of the general students was increased to the child with disabilities. And also, the understanding about disability of the general students was increa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의 방법
Ⅲ. 연구의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지원센터 사례관리자의 역할 결정과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지역사회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농인의 종교적 신념과 종교 활동에 관한 연구
-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구성요인 분석
- 낮은 학업성취 학생에 대한 교사의 귀인속성, 지도 효능감 및 대처 방안 간 관계 모형 개발
- 장애아동 전담보육기관의 현황과 교직원들의 현재 정체성 인식 및 미래 지향 방향
- 특수교육보조원의 초기 경험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감각조절력 및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지식과 이해 수준 분석
- 학습장애 학생의 관형사형 어미 이해 및 산출 특성 연구
- 개별화교육계획의 실제 및 교사 요구
- 손인형을 이용한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가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과 마음이론에 미치는 영향
- 아동학대에 대한 장애아동 부모와 일반아동 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 발달지체유아의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 장애청소년의 종합적 전환계획요구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
- 통합환경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학습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동기와 자기결정성동기와의 관계 연구
- 중학교 통합학급 수학수업에서 수학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실행도
-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단일대상 연구의 메타분석
- 청각장애유아 가족의 양육경험과 가족기능에 대한 연구
- 고기능자폐아의 화용론적 이해와 표현 결함 연구
- 자기교시훈련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이분모분수 가감산 문제해결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읽기학습장애 진단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CBM)의 효율적인 측정주기(Frequency) 분석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 개선 요구 분석
-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학생의 고등교육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대상자특별전형 실태 분석 및 선발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 문헌의 연구 방법 분석
- 자기점검표를 활용한 또래 도우미 지원이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 루브릭 평가를 활용한 과정중심 쓰기교수가 쓰기학습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과 쓰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