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육보조원의 초기 경험
이용수 0
- 영문명
- Practice of experiences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viewed from the Grounded theor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고진복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4호, 465~49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수교육보조원들이 특수학교에 적응하기까지의 경험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실체이론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상징적상호주의 인식론 관점에 기반을 둔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특수교육보조원의 경험에서 나타난 개념의 범주는 무엇인가? 특수교육보조원이 겪은 경험의 중심현상은 무엇인가? 그리고 이를 야기한 것은 무엇인가? 이것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은 무엇인가? 이것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중재적 조건들은 무엇인가? 이러한 결과는 무엇인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특수교육보조원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나타난 특수교육보조원 경험의 개념은 모두 136개이며, 35개의 하위범주로 분류되었고, 20개의 범주로 통합되었다. 또한, 특수학교에서 특수교육보조원이 경험하는 갈등이라는 핵심범주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핵심범주의 중심현상이 ‘소극적 의사소통’, ‘수동적 행동’, ‘표면적 관계의 형성’이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experiences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have from the position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applying Grounded theory. Specifically, what is category of concept appeared in the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who work in Special school for physical disability?; What is central phenomenon of experiences which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had?; And what is the cause for the phenomenon?; What is the strategy to overcome this phenomenon?; What is contextual and interventional condition which affects the strategy?; And to explore what this results mean. As the results of analyzing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concepts of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experiences are all 136 in number, the concepts were classified to 35 sub-categories, and integrated to 20 categories. Also, as the core category, conflict experienced by Special education assistants working in Special school for physical disability could be found. It was also known that central phenomenon of such a core category are 'passive communication', passive behavior', 'formation of superficial relationship'.
목차
Ⅰ. 연구의 배경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방법적 반성과 전망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지원센터 사례관리자의 역할 결정과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지역사회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농인의 종교적 신념과 종교 활동에 관한 연구
-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구성요인 분석
- 낮은 학업성취 학생에 대한 교사의 귀인속성, 지도 효능감 및 대처 방안 간 관계 모형 개발
- 장애아동 전담보육기관의 현황과 교직원들의 현재 정체성 인식 및 미래 지향 방향
- 특수교육보조원의 초기 경험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감각조절력 및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지식과 이해 수준 분석
- 학습장애 학생의 관형사형 어미 이해 및 산출 특성 연구
- 개별화교육계획의 실제 및 교사 요구
- 손인형을 이용한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가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과 마음이론에 미치는 영향
- 아동학대에 대한 장애아동 부모와 일반아동 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 발달지체유아의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 장애청소년의 종합적 전환계획요구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
- 통합환경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학습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동기와 자기결정성동기와의 관계 연구
- 중학교 통합학급 수학수업에서 수학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실행도
-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단일대상 연구의 메타분석
- 청각장애유아 가족의 양육경험과 가족기능에 대한 연구
- 고기능자폐아의 화용론적 이해와 표현 결함 연구
- 자기교시훈련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이분모분수 가감산 문제해결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읽기학습장애 진단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CBM)의 효율적인 측정주기(Frequency) 분석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 개선 요구 분석
-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학생의 고등교육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대상자특별전형 실태 분석 및 선발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 문헌의 연구 방법 분석
- 자기점검표를 활용한 또래 도우미 지원이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 루브릭 평가를 활용한 과정중심 쓰기교수가 쓰기학습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과 쓰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