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유아 가족의 양육경험과 가족기능에 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Study on Rearing Experience and Family Function of the Family of You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승희 최성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4호, 229~25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청각장애유아의 출산과 양육은 건청부모의 건청유아를 위한 양육경험과는 다른 특성에 노출되며, 대부분의 건청부모는 자신의 유아가 청각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상황에서 청각장애유아를 양육한다. 그러나 청각장애유아의 가족이 느끼는 양육경험과 그에 따른 가족기능의 양상은 가정마다 각기 다르게 나타나므로 만3세에서 초등학교 취학 전 어린이에 해당하는 청각장애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청각장애유아 가족의 배경변인을 토대로 부모의 양육효능감 및 태도, 스트레스의 전반적인 양육경험과 가족기능의 특성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각장애유아 가족의 효율적인 양육과 원활한 가족기능을 위해서는 청각장애유아 가족의 긍정적인 양육효능감을 통한 양육스트레스의 감소와 바람직한 양육태도, 가족 간의 높은 결속·응집 및 적응을 통한 가족기능 강화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다시 말해 청각장애유아 가족의 안정적인 가족관계 및 삶을 위해서는 전반적으로 청각장애에 대한 가족의 긍정적인 양육효능감 및 태도 형성과 가족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에 기초한 가족기능의 강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situation and future direction for effective child rearing and family function of the family of you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 rearing exper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function. The 212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who were the age of three to five, and attending at the kindergarten in special schools, and nurser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or welfare institute for hearing impaired children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wo parts, one was for child rearing experiencewith forty six questions, and the other one was for family function with seventeen questions. T-test, Pearson correlation, regression, and structure equation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hearing impaired infants' sex, the degree of the hearing impairment, and the age of the parents of the hearing impaired infants were important factors to influence in child rearing attitudes and stress; (b) the hearing impaired infants' sex and the degree of the hearing impairment were main factors to effect in family function; and (c) the factors in the child rearing experie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function were indicated with correlation.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positive child rearing experience of the family of you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s were influenced to the reinforcement for family function, and strengthen the solidarity for family members each others. Also this study suggested th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programs, and financial supports were required to change the social attitudes and positive child rearing attitudes toward you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nd to reinforce the family function with harmonious commun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지원센터 사례관리자의 역할 결정과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지역사회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농인의 종교적 신념과 종교 활동에 관한 연구
-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구성요인 분석
- 낮은 학업성취 학생에 대한 교사의 귀인속성, 지도 효능감 및 대처 방안 간 관계 모형 개발
- 장애아동 전담보육기관의 현황과 교직원들의 현재 정체성 인식 및 미래 지향 방향
- 특수교육보조원의 초기 경험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감각조절력 및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지식과 이해 수준 분석
- 학습장애 학생의 관형사형 어미 이해 및 산출 특성 연구
- 개별화교육계획의 실제 및 교사 요구
- 손인형을 이용한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가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과 마음이론에 미치는 영향
- 아동학대에 대한 장애아동 부모와 일반아동 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 발달지체유아의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 장애청소년의 종합적 전환계획요구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
- 통합환경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학습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동기와 자기결정성동기와의 관계 연구
- 중학교 통합학급 수학수업에서 수학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실행도
-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단일대상 연구의 메타분석
- 청각장애유아 가족의 양육경험과 가족기능에 대한 연구
- 고기능자폐아의 화용론적 이해와 표현 결함 연구
- 자기교시훈련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이분모분수 가감산 문제해결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읽기학습장애 진단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CBM)의 효율적인 측정주기(Frequency) 분석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 개선 요구 분석
-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학생의 고등교육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대상자특별전형 실태 분석 및 선발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 문헌의 연구 방법 분석
- 자기점검표를 활용한 또래 도우미 지원이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 루브릭 평가를 활용한 과정중심 쓰기교수가 쓰기학습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과 쓰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Academic Tribune Vol.2 No.2 Contents
- The Granular Representation of Syntactic Cartography
- A Translation Report on English-Chinese of Smart Thinking (Excerp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