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낮은 학업성취 학생에 대한 교사의 귀인속성, 지도 효능감 및 대처 방안 간 관계 모형 개발

이용수  0

영문명
The Development of a Model on the Relations among Teachers’ Attribution, Teaching Efficacy and Coping Strategy for Academically Underachieving Student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오원석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4호, 413~43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업 저성취 학생에 대한 교사들의 귀인속성, 지도 효능감 그리고 대처 방안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구, 경북 및 기타 지역 초등학교 교사들 216명을 임의 표집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교 교사들의 학업 저성취에 대한 귀인 속성은 개인적 배경 변인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통합교육경력이 많은 교사들은 개인 내적 귀인 특성을 가진 것으로 제시되었으나, 교직경력과 특수교육관련 연수 이수 정도는 학생의 현 상태 지속성 및 통제가능성과 역 상관을 보여, 학생의 낮은 성취도가 지속되지는 않지만 학생 개인의 노력에 의해 극복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의 귀인 속성과 지도 효능감은 대처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긍정적 변화 가능성 귀인과 지도 효능감이 높은 교사들이 낮은 학업성취 학생에 대하여 적극적 대처를 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따라서 통합학급 교사에 대한 특수교육관련 연수를 강화하고, 일반학급 교사들의 재교육 과정에서도 특수교육 및 학습에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에 대한 지도 방안을 안내함으로서 교사들의 낮은 학업성취 학생에 대한 귀인 속성을 개선하고, 적극적 지도 대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teachers’ attribution characteristic, teaching efficacy and coping strategy for academically underachieving students. F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 sampled 216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 random from Daegu, Gyeongsangbuk‐do and other area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ribution for academic under-achievement was different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and the personal internal attribution characteristic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teachers with long experience in teaching, integrated education, and training on special education. In addition, teachers’ attribution and teaching efficacy in a close relation with their coping strategy, and teachers with attribution for positive change and high teaching efficacy used more active coping strategies for academically underachieving students. In particular, teachers with rich experience in integrated education and training on special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the negative attribution characteristic, and this result suggests the keen necessity to change the environment of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contents of training programs on special educat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training programs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원석. (2011).낮은 학업성취 학생에 대한 교사의 귀인속성, 지도 효능감 및 대처 방안 간 관계 모형 개발. 특수아동교육연구, 13 (4), 413-436

MLA

오원석. "낮은 학업성취 학생에 대한 교사의 귀인속성, 지도 효능감 및 대처 방안 간 관계 모형 개발." 특수아동교육연구, 13.4(2011): 413-4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