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alysi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n the traits of Good instruction Recognized by Special Class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이열 임경원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3권 제4호, 537~55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한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인식을 중요도와 실행도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특수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 수업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전국 초등학교 특수학급 중 10%를 비율표집하였으며,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224명이 응답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은 수업 관점에서 ‘구성관점’, 수업내용에서 ‘선행학습 수준고려’, 수업방법에서 ‘선택의 기회와 책임부여’, 평가에서 ‘수행평가’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실행도 영역에서는 ‘관계관점’, ‘선행학습 수준 고려’, ‘목표와 기대 전달’, ‘물리적 환경’, ‘수행평가’의 실행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장애의 다양성 고려’, ‘개별학생의 특성과 능력 반영’, ‘다양한 교육방법 활용’, ‘학생과 교사가 신뢰하는 분위기’, ‘수업내용을 일상생활에 적용하는 능력에 관한 평가’ 부분이 개선해야 할 특징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에서 변인별 중요도와 실행도의 우선순위를 밝히고 변인별 차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면 좋은 수업을 위한 조금 더 객관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required for good instructions in special education and to find out implications needed to improve instruction on actual special classes. We sampled 224 special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randomly to which prepared questionnaires were recovered. The result shows, ‘constructivist perspective’ as important from the perspective. They are also appeared to put emphasis on ‘considering the level of prerequisite learning’, ‘assignment of options and responsibility’, and ‘accomplishment evaluation’. In the performance domain, a factor of ‘relationship perspective,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prerequisite learning’, ‘goal-expectation conveyance’ and ‘accomplishment evaluation’ are shown high points. When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traits which need to improve in the future are appeared as ‘a class which consider the diversity of disability', ‘a class which reflects characteristics and capabilities of individual students', ‘a class which utilizes diverse educational methodologies', ‘democratic, permissive and trustworthy atmosphere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and ‘evaluation on the capability of applying instructed contents to daily life'. In the future, if we reveal the priority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by variables and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variables in detail, then we can make a more objective and detailed plan for the good instru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수교육지원센터 사례관리자의 역할 결정과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지역사회 상황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비구어 지적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농인의 종교적 신념과 종교 활동에 관한 연구
- 중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육과정과 수업에 대한 구성요인 분석
- 낮은 학업성취 학생에 대한 교사의 귀인속성, 지도 효능감 및 대처 방안 간 관계 모형 개발
- 장애아동 전담보육기관의 현황과 교직원들의 현재 정체성 인식 및 미래 지향 방향
- 특수교육보조원의 초기 경험
-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수업’의 특징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 심리운동과 감각통합치료가 ADHD성향 아동의 감각조절력 및 주의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지식과 이해 수준 분석
- 학습장애 학생의 관형사형 어미 이해 및 산출 특성 연구
- 개별화교육계획의 실제 및 교사 요구
- 손인형을 이용한 사회적 상황이야기 중재가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과 마음이론에 미치는 영향
- 아동학대에 대한 장애아동 부모와 일반아동 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 발달지체유아의 통합교육 관련 요인과 유치원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 장애청소년의 종합적 전환계획요구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내용타당도 검증
- 통합환경에서의 보편적 학습설계(UDL)에 기초한 미술수업이 중학교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학습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학업동기와 자기결정성동기와의 관계 연구
- 중학교 통합학급 수학수업에서 수학교사의 교수적 수정의 실행도
-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단일대상 연구의 메타분석
- 청각장애유아 가족의 양육경험과 가족기능에 대한 연구
- 고기능자폐아의 화용론적 이해와 표현 결함 연구
- 자기교시훈련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이분모분수 가감산 문제해결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읽기학습장애 진단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CBM)의 효율적인 측정주기(Frequency) 분석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 개선 요구 분석
-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학생의 고등교육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대상자특별전형 실태 분석 및 선발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한 단일대상연구 문헌의 연구 방법 분석
- 자기점검표를 활용한 또래 도우미 지원이 통합학급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 루브릭 평가를 활용한 과정중심 쓰기교수가 쓰기학습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과 쓰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