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동북지역의 농업유형과 성장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gricultural Pattern and Growth in Northest(Long Jing) Region, China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김종섭(Jong-Sup Kim)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0권 제1호, 656~679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3년 기준 횡단면자료 29개 지표를 사용하여 중국 동북지역 중 용정지역 86개 촌의 농업유형을 구분하고 용정지역의 농업성장 특히 성장의 요인이 무엇이며, 각 요인이 지역성장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갖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며, 용정지역의 농업유형을 구분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인자분석과 군집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여기서 얻어진 요인을 설명변수로 하여 종속변수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용정지역 농업의 중요 요인은 6개로 집약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들에 의해 6개 군집이 도출되었고, 종속변수로 선정된 인구(POP MODEL)와 소득(INC MODEL)에 대한 중요도에서 agl_f 요인이 인구는 물론 소득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모형에서 ost_f 요인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변수로 그리고 소득모형에서는 vmp_f 요인이 중요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반면 군집간 격차를 보면 인구변수의 경우 군집1이 격차가 가장 큰 것으로, 군집6이 격차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적 많은 촌이 포함되어 있는 군집3과 군집4는 상대적으로 격차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구측면에서 지역간 격차를 좁히기 위한 대안이 강구되어야 하나 중국경제의 발전과 함께 농촌의 인구가 도시로 유출되는 이농 및 이촌현상은 인구격차를 앞으로 더욱더 심화시키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homogeneous groups and growth factors and disparity of agriculture in northest, China through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using 2003 data sets and to grasp the growth disparity between clusters by models using the derived growth factors. The number of factors obtained through factor analysis were four, i.e., pst_f, vmp_f, ost_f, agl_f, fru_f and maf_f appear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Agl_f was confirmed to be the relatively least important factor. And six clusters were derived from cluster analysis. The result of this paper indicates that agl_f, ost_f and vmp_f have a strong effect and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dependent variables. Also, in the POP MODEL, agl_f and ost_f indicat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nd in the INC MODEL, factor agl_f and vmp_f indicate the relatively important factors. But other factors indicate relatively low influence in two model. And, To smooth the growth disparity between clusters, I think that the government should adopt policies as the enlargement of rural infrastructure, the establishment of the agricultural development plan in middle and long times and so on.

목차

Ⅰ. 서론
Ⅱ. 용정지역의 농업과 중국산 농산물 수입실태
Ⅲ. 용정지역 농업유형화의 모형과 실증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섭(Jong-Sup Kim) . (2006).중국 동북지역의 농업유형과 성장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10 (1), 656-679

MLA

김종섭(Jong-Sup Kim) . "중국 동북지역의 농업유형과 성장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10.1(2006): 656-6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