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rading Blocs and U.S. Wood Products Exports: An Application of Gravity Model
이용수 2
- 영문명
- 무역 블록과 미국의 Wood Products 수출: 중력 모델 응용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강명주(Myeongjoo Kang)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10권 제1호, 72~91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2.28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1986년부터 2000년까지 EU, NAFTA, EAPR 등 3개 무역 블록의 26개국과 미국 목재상품(wood products)의 무역 패턴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중력 모델을 이용하였다. 최근까지 중력 모델을 이용한 대부분의 연구는 총 무역자료(aggregated data)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횡단면 자료나 시계열 자료를 사용해서 무역당사국간의 무역패턴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중력 모델 접근 방식과는 달리 단일품목(single commodity)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런 경우에 중력 모델의 유효성 및 중력모델의 변수들이 기본적인 특성을 잘 나타내는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NAFTA 협약 이후에 미국 목재상품의 수출이 EAPR 블록 보다는 NAFTA 블록으로 이동되면서 이 지역에 대한 수출비중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1997년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위기와 1994년 NAFTA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최근에 중력 모델에서 자주 사용되는 고정효과(fixed effects)와 임의효과(random effects)의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들 3개 블록과의 무역을 분석한 결과, 임의효과 모델이 미국의 목재상품 수출을 잘 설명하고 있고 또한 적합한 모델임이 Hausman test를 통해 밝혀졌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수정된 중력 모델이 기존 중력 모델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단일품목의 무역에서도 잘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conventional gravity model is revised for the single commodity of U.S. wood products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U.S. wood product exports. The empirical model is applied using data between the U.S. and three trading blocs: the EU, NAFTA, and EAPR blocs for the period 1986-2000. The study reveals that there is aꡐshift of gravityꡑof U.S. wood product exports from the EAPR bloc to the NAFTA bloc. This study utilizes panel data in a one-way fixed and random effects model to account for an individual country's effects. The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the modified gravity model can be applicable for a single commodity and supports the attributes of the conventional gravity model. The study also indicates that the random effects model is more plausible and gives more robust results than the fixed effects model.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rade Patterns among Trading Blocs
Ⅲ. Literature Review
Ⅳ. The Methodology and Data Structures
Ⅴ. The Empirical Results
Ⅵ. Conclusions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럽의 자영업의 변화원인
- [부록] 학회지 『국제지역연구』 간행규정 외
- 미국 신경제 주도업종들의 총요소생산성 변화와 그 결정요인
- 중국소비자들의 한국 자동차 선택에 관한 연구
- Human Capital and Economic Growth: A Study of the Korea 1966-2000
- 중국의 중유 선물시장과 해외 선물시장 간의 정보흐름 분석
- 한국기업의 글로벌 통합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 동북지역의 농업유형과 성장에 관한 연구
- 서비스 지각가치, 기업, 시장 및 소비자 특성이 서비스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캐나다 소비자의 B2C 전자상거래시 고객만족에 관한 실증연구
- 역라이센싱을 통한 국제화 전략
- 세계화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경제사적 고찰
- 한국 기업의 수출마케팅 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Trading Blocs and U.S. Wood Products Exports: An Application of Gravity Model
- 주식의 해외교차상장이 주가행태에 미치는 영향분석
- 부산국제영화제의 성공요인과 효율성 분석
-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Management Accomplishments by Foreign Enterprises in Local Korea : Focused on Differences between sole venture and joint venture
- 해신(장보고) 드라마 방영이 지역축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내부마케팅이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엄격성지수(RI)를 활용한 FTA 원산지규정 분석
- Econometric Methods And Purchasing Power Parity
- 유럽연합의 ACP국가 개발지원정책에 대한 소고(小考)
- 한국 조세지원정책의 과제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근대 부산해관의 운영에 관한 사적 고찰
- Trade Liberalization and Business Facilitation in APEC and its Economic Effects : A CGE Approch
- 비시장경제국가에 대한 미국과 EU의 대체국제도 연구
- 한국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대 중국 제조업 FDI가 수출에 미치는 효과
- Terrorism Affects of the North Korea on the Airlift Passenger Demand : American Tourists Visiting Korea
- 에너지안보를 둘러싼 중국의 팽창주의 외교정책
- 윤리경영과 기업가치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 GMOs 무역분쟁과 WTO의 대응능력
- 한국 IT자격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 국제해운 서비스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
- 한국 전자부품산업에 대한 글로벌 기업의 후방연계전략에 관한 연구
- 모바일서비스 사용자 수용특성에 관한 한-독간 비교연구
- 일본상품선물시장의 제도개혁과 경제적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