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 신경제 주도업종들의 총요소생산성 변화와 그 결정요인

이용수  0

영문명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Its Determinants of Major Industries eading the U.S. New Economy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장두영(Dooyung Chang)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0권 제1호, 222~243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2.28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미국경제의 정보통신기술생산업종群과 정보통신기술이용업종群 관련 기업들의 1994-2004년 기간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에 의해서 총요소생산성의 변화와 그 결정요인을 분석했다. 미국의 신경제를 주도한 주요 업종들의 총요소생산성은 전반적으로 매우 완만하게 향상되고, 총요소생산성의 증가율은 정보통신기술이용업종群보다 정보통신기술생산업종群에서 낮았다. 그러나 두 업종군의 총요소생산성의 증가추세는 최근에 이르면서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보통신기술이용업종군에서는 2000-2004년간에 총요소생산성의 증가율이 1994-2000년간보다 둔화되고, 정보통신기술생산업종군에서는 총요소생산성의 감소율이 떨어진 것이다. 그러나 총요소생산성이 큰 차의 증감을 반복했다. 한편 정보통신기술생산업종群에서는 기술변화와 기술적 효율성의 변화가 총요소생산성의 변화에 대해서 각각 증가요인과 감소요인으로서, 그리고 정보통신기술이용업종群에서는 기술진보와 기술적 효율성의 변화가 모두 증가요인으로서 작용했다. 그러나 2000년 이전기간에 정보통신기술생산업종群에서는 기술적 효율성의 변화는 증가요인으로서, 그리고 정보통신기술이용업종群에서는 기술변화가 감소요인으로서 기능했다. 그러나 총요소생산성의 증가에 대한 기술변화의 안정적 기여는 없었다. 따라서 미국의 신경제 현상은 1990년대에는 핵심 정보통신기술 생산업종들에 의해서 나타나 일반화되었고, 21세기에 들어와서는 정보통신기술생산업종군의 역동성이 약화된 가운데 정보통신기술이용업종군의 성장에 힘입어 지지되고 있으나, 그 지속가능성은 불확실하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stimated and analysed changes in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and its determinants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ICT) producing industries such as semiconductor, computer, telecommunication, and the ICT using industries like wholesale, retail, securities through data development analysis, based on the panel data for 1994-2004 in the U.S.economy. TFP grew slightly in the ICT producing and using industries, and its growth rates were higher in ICT using industries than in ICT producing ones. However, they showed a tendency to convergence over time. The positive change rate of TFP of ICT producing industries and the negative change rate of ICT using ones for 2000-2004 were smaller than for 1994-2000. And in the ICT producing industries the technological change and technical efficiency change contributed to increasing the FTP and to decreasing it respectively, all the technological change and the technical efficiency change contributing to the growth of TFP in the ICT using industries. But in the late 1990s the technical efficiency change played a role as increasing factor of TFP in the ICT producing industries, and as decreasing factor in the ICT using ones. Conclusively, the new economy phenomenon was created and boosted by the core ICT producing industries in the 1990s and sustained by the ICT using ones in the earlier 21c. Moreover, TFP fluctuated considerably and irregularly, but there was not a steady contribution of technical change to TFP growth. That's why the sustainability of new economy can be supposed to be uncertain.

목차

Ⅰ. 서론
Ⅱ. 분석방법
Ⅲ. 자료
Ⅳ. 추정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두영(Dooyung Chang) . (2006).미국 신경제 주도업종들의 총요소생산성 변화와 그 결정요인. 국제지역연구, 10 (1), 222-243

MLA

장두영(Dooyung Chang) . "미국 신경제 주도업종들의 총요소생산성 변화와 그 결정요인." 국제지역연구, 10.1(2006): 222-2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