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트럼프 2기 디지털 블록화 시대의 중국 디지털 실크로드 재정렬과 한중 공진 전략 : 동아시아 디지털 질서 전환기의 파동 구조와 플랫폼 연계 가능성

이용수  0

영문명
Reconfiguring China’s Digital Silk Road in the Era of Trump’s Digital Bloc Strategy : Toward a Co-Resonant Platform Strategy between Korea and China in East Asia’s Digital Order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김세윤(Seyoon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5호, 1129~114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미중 간 디지털 패권 경쟁이 고조되는 가운데,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본격화된 미국의 디지털 블록화 전략과 이에 대응하는 중국의 디지털 실크로드 전략의 재정렬 흐름을 분석한다. 기존 논의가 정책 수사에 머물렀던 한계를 넘어, 본 연구는 디지털 실크로드가 동아시아 디지털 질서 내에서 ‘공진(co-resonance)’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구조적 가능성을 고찰한다. 특히 한국은 기술구조의 상호보완성과 디지털 규범 설계 참여 능력을 바탕으로, 미국 중심 전략에 일방적으로 편입되기보다는 다층적 디지털 협력 구조를 설계할 수 있는 위치에 놓여 있다. 본 연구는 복잡계 이론, 플랫폼 거버넌스, 디지털 지역주의의 이론틀을 바탕으로, 디지털 실크로드의 전략적 전환, 트럼프 2기의 블록화 구조, 한중 간 기술·표준·규범 협력의 공진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공진 질서’라는 개념을 디지털 지정학 분석의 새로운 해석틀로 제안하고, 다중 연결성과 하이브리드 외교를 기반으로 한 한국의 전략적 개입 방향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strategic reconfiguration of China's Digital Silk Road in response to the accelerating digital bloc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under the second Trump administration, amid intensifying U.S.–China competition over digital hegemony. Moving beyond prior discussions that largely focused on policy rhetoric, this paper interprets the Digital Silk Road as evolving into a co-resonant digital platform within the East Asian order. It argues that South Korea, endowed with complementary technological capacities and regulatory design capabilities, is positioned not merely as a policy follower but as a co-designer of multi-layered digital cooperation structures. Drawing on complexity theory, platform governance, and digital regionalism, this study explores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Digital Silk Road, the bloc-based logic of Trump’s digital decoupling, and the potential for Korea–China co-resonance in technology, standards, and governa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aper introduces the concept of “co-resonant order” as a new analytical framework for digital geopolitics and outlines a strategic direction for Korea centered on multi-scalar connectivity and hybrid diplomacy.

목차

Ⅰ. 서론
Ⅱ. 디지털 실크로드의 형성과 전략적 전환
Ⅲ. 트럼프 2기와 글로벌 디지털 블록화 흐름
Ⅳ. 동아시아 디지털 질서의 공진 가능성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세윤(Seyoon Kim). (2025).트럼프 2기 디지털 블록화 시대의 중국 디지털 실크로드 재정렬과 한중 공진 전략 : 동아시아 디지털 질서 전환기의 파동 구조와 플랫폼 연계 가능성. 한국과 국제사회, 9 (5), 1129-1148

MLA

김세윤(Seyoon Kim). "트럼프 2기 디지털 블록화 시대의 중국 디지털 실크로드 재정렬과 한중 공진 전략 : 동아시아 디지털 질서 전환기의 파동 구조와 플랫폼 연계 가능성." 한국과 국제사회, 9.5(2025): 1129-1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