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장애형제자매의 가족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긍정정서 반응의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Emotional Respon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Non-disabled Siblings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류제곤(Jae-gon Ryu) 길태영(Tae-young Kil) 김영권(Young-kwon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5호, 637~668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장애형제자매를 대상으로 가족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긍정정서 반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J도 K시에 거주하는 비장애형제자매 23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가족탄력성이 긍정정서 반응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3단계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탄력성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정서 반응은 가족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탄력성이 위기상황에서 긍정정서 경험을 증진시키며, 비장애형제자매의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비장애형제자매의 주관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가족중심 개입전략을 높일 수 있는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emotional respon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non-disabled siblings. To achieve this, a structured survey was conducted with 230 non-disabled siblings. in Province J, City K. The Sobel test was employ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o analyze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subjective well-being mediated by positive emotional responses, a three-step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mily resilie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Second, positive emotional response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mily resilience can enhance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during times of crisi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subjective well-being among non-disabled sibling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o support family-centered intervention strategies aimed at promot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non-disabled sibl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류제곤(Jae-gon Ryu),길태영(Tae-young Kil),김영권(Young-kwon Kim). (2025).비장애형제자매의 가족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긍정정서 반응의 매개효과. 한국과 국제사회, 9 (5), 637-668

MLA

류제곤(Jae-gon Ryu),길태영(Tae-young Kil),김영권(Young-kwon Kim). "비장애형제자매의 가족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긍정정서 반응의 매개효과." 한국과 국제사회, 9.5(2025): 637-6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