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리외상에서 외상 후 성장으로 : 상담자에서 반추 유형과 지각된 통제의 매개역할

이용수  0

영문명
From Vicarious Trauma to Post-Traumatic Growth : Mediating Roles of Rumination Types and Perceived Control among Counselors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김지연(Jiyeon Kim) 이자영(Jayoung Lee)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5호, 745~76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상담자의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에 있어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지각된 통제감의 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선행연구를 토대로 대리외상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지각된 통제감의 다중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모형을 설정하였다. 국내 상담자 280명을 대상으로 대리외상척도, 사건관련반추 척도, 지각된 통제감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 확장판을 사용하였으며 SPSS Statistics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대리외상으로 인한 침습적 반추는 의도적 반추와 지각된 통제감을 매개로 외상 후 성장에 간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삼중 매개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대리외상으로 침습적 반추가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더라도, 이후 의도적 반추와 통제감 회복을 통해 외상 후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perceived control in the link between counselors’ vicarious trauma and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prior research, a multiple mediation model was tested with 280 Korean counselors using the Vicarious Trauma Scale, Event-Related Rumination Inventory, Perceived Control Scale, and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Expanded. Analyses with SPSS 25.0 showed that intrusive rumination indirectly promoted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and perceived control, with the triple mediation pathway being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lthough intrusive rumination may initially evoke distress, it can foster post-traumatic growth when followed by deliberate rumination and the restoration of contro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연(Jiyeon Kim),이자영(Jayoung Lee). (2025).대리외상에서 외상 후 성장으로 : 상담자에서 반추 유형과 지각된 통제의 매개역할. 한국과 국제사회, 9 (5), 745-766

MLA

김지연(Jiyeon Kim),이자영(Jayoung Lee). "대리외상에서 외상 후 성장으로 : 상담자에서 반추 유형과 지각된 통제의 매개역할." 한국과 국제사회, 9.5(2025): 745-7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