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의 정치적 불평등 구조 연구 : 심화과정의 변화 및 정치적 함의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Structure of Political Inequality in North Korea : Focusing on the Evolution of Deepening Processes and Political Implications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조민희(MIN HEE JO)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5호, 1037~1072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김정은 시대 북한의 정치적 불평등 구조를 분석하고, 그 심화 과정과 정치적 함의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의 정치적 불평등을 권력 배분, 정치참여, 자원 접근성의 종합적 불균형으로 정의하고, 이를 체제 유지 논리와 연계해 해석하였다. 이를 위해 정치적 불평등 이론과 체제전환국 사례를 분석틀로 삼아 북한의 권력 구조, 통제 장치, 사회 분할 메커니즘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김정은 체제의 정치적 불평등은 ① 형식적 참여와 정치조직의 포섭·통제, ② 충성도 기반 정치자원 접근 통제, ➂ 권력 독점과 엘리트 지배 강화라는 세 축을 중심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이러한 구조적 불평등은 최근 정보 접근성 확대, 세대교체, 지역 불균형 심화를 매개로 청년층 탈조직화와 ‘비가시적 저항’ 등 내부 균열 조짐을 낳고 있다. 북한 당국은 선별적 복지, 지도자 신성화, 생활 밀착형 관리형 개혁을 병행하며 정당성 유지에 나서고 있으나, 이는 구조적 불평등을 해소하지 못한 채 국면 전환용 임시 처방에 그치고 있어 장기적 효과가 제한적이다. 결과적으로 북한은 강압적 통치로의 회귀와 제한적 제도 유연성 도입이라는 기로에 서 있으며, 어느 경로를 택하든 정치적 불평등의 구조를 재조정하지 않는 한 정당성 위기는 누적될 가능성이 크다. 김정은 체제의 향후 경로는 정치적 불평등을 어떻게 관리·재구성하느냐에 달려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 가능성을 전망하고 북한 정치 연구와 한반도 정책 논의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mechanisms,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inequality in North Korea. It argues that this inequality is not transient but a systemically reproduced structure rooted in hereditary power and the songbun (social classification) system. Three core mechanisms are identified: 1) loyalty-based access control, 2) elite monopolization of political and economic rents, and 3) the consolidation of hereditary leadership. These mechanisms weaken political efficacy, block mobility, and entrench generational inequality. The study further shows that the spread of information, generational change, and regional disparities are heightening awareness of inequality and generating latent tensions. Although the regime employs selective welfare, image politics, and managed reforms to sustain legitimacy, such strategies are increasingly constrained by structural rigidity and elite resista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without addressing inequality, North Korea’s governance will face growing legitimacy pressures and potential shifts in ruling strategies, offering insights into authoritarian resilience and closed political syste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분석의 틀
Ⅲ. 북한 정치적 불평등 구조와 심화 메커니즘
Ⅳ. 정치적 불평등의 심화와 그 정치적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민희(MIN HEE JO). (2025).북한의 정치적 불평등 구조 연구 : 심화과정의 변화 및 정치적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사회, 9 (5), 1037-1072

MLA

조민희(MIN HEE JO). "북한의 정치적 불평등 구조 연구 : 심화과정의 변화 및 정치적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사회, 9.5(2025): 1037-10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