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Western Records of Chinese Proverbs in the Modern Era : At the Crossroads of Language Learning, Cultural Understanding, and Missionary Enterprise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구현아(Hyunah Khoo)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5호, 29~6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0.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19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서양인이 중국 속담을 기록한 문헌과 서지적 특징을 살펴보고, 서양인들이 주목한 중국 속담의 가치와 효용을 분석함으로써 당시 중국 속담이 수행한 역할을 규명한다. 초기 선교사와 외교관, 작가들은 속담을 중국어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최적의 제재로 인식하여 중국어 교재에 수록하였으며, 19세기 중반 이후부터 폴 페르니, 윌리엄 스카보로, 브라이언 브라운 등은 속담집을 전문적으로 편찬하면서 중국어 원문과 영어 번역문을 병렬하거나 주음을 덧붙여 학습 효과를 강화했다. 잡지도 역시 학습의 효과를 함께 고려했기 때문에 동일한 형식으로 출현했다. 반면, 견문록에서의 중국 속담에 대한 기록은 서양에 중국 문화를 알리는데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영어 번역문만 실렸다는 점이 상이하다. 서양인은 중국 속담의 풍부함, 운율미, 그리고 지혜에 주목하여 중국인의 문화를 이해하는 통로로 활용했다. 속담집의 상당수는 선교사에 의해, 그리고 선교 단체를 통해 출판되었으며, 설교에 적극 활용되었다. 따라서 중국 속담 기록은 단순한 문화적 호기심이나 언어 학습을 넘어, 기독교적 목적이 투영된, 언어 학습· 문화 이해· 선교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형성된 복합적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Western records of Chinese proverbs from the 19th to early 20th centuries, focusing on their bibliographic features and the values Westerners ascribed to them in order to clarify the roles that proverbs played at the time. Early missionaries, diplomats, and writers regarded proverbs as ideal materials for learning Chinese and included them in textbooks, while later compilers such as Paul Perny, William Scarborough, and Brian Brown enhanced their pedagogical use by pairing Chinese originals with English translations or phonetic annotations; periodicals followed a similar format, whereas travelogues, aimed at introducing Chinese culture to the West, typically featured only English renderings. Attracted to their richness, concision, rhythm, and wisdom, Westerners treated proverbs as a gateway to Chinese values and culture, yet many collections were published through missionary organizations and employed in preaching, making them complex products shaped at the intersection of language learning, cultural understanding, and Christian evangelism.
목차
Ⅰ. 서론
Ⅱ. ‘속담’에 대한 개념과 영문 번역
Ⅲ. 중국 속담을 기록한 문헌과 저자
Ⅳ. 중국 속담을 기록한 이유를 통해 본 중국 속담의 역할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국제사회 제9권 제5호 목차
- 근현대시기 서양인의 중국 속담 기록 : 언어 학습과 문화 이해, 그리고 선교의 교차 지점에서
- 중국인 유학생의 생성형 AI 사용 의도 결정요인 연구 : UTAUT모델 기반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와 AI리터러시의 조절효과 분석
- 일본 이주배경 청년이 경험한 한국사회 반일감정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가족센터의 공공 가족상담서비스 현황과 개선방안
- 도농복합지역 독거노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5요인 성격특성의 매개효과
- 대리외상에서 외상 후 성장으로 : 상담자에서 반추 유형과 지각된 통제의 매개역할
- 대산면 당산·숲정이의 공간논리와 재난완충 기능 : 면(面) 단위 통합 분석
- 클래식 공연예술단체 B콰르텟의 브리꼴라주 전략 실천 사례 연구
- 아트페어의 블루오션 전략 연구 : 미디어 아트페어 ‘루프랩부산’을 중심으로
- 북한의 정치적 불평등 구조 연구 : 심화과정의 변화 및 정치적 함의를 중심으로
- 한국의 국방정책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 : ‘24~‘28 국방중기계획 인력 분야를 중심으로
- 군사적·경제적 의존도가 동맹국의 파병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가? : 미국 주도 전쟁(1950~2014)의 동맹국 파병에 관한 경험적 연구
- 트럼프 2기 디지털 블록화 시대의 중국 디지털 실크로드 재정렬과 한중 공진 전략 : 동아시아 디지털 질서 전환기의 파동 구조와 플랫폼 연계 가능성
-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 역사의 이해’ 수업을 통한 다문화 감수성 향상 방안 연구 : 비교사 발표 활동을 중심으로
- 역사콘텐츠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다학제간 팀티칭 교육 : 전공전문 <동아시아근대사> 사례를 중심으로
- 지역 정주·취업에 대한 광주 A대학 베트남인 유학생의 인식 조사 연구 : 인문계열 전공을 중심으로
- 이민자 밀집 지역 직접 접촉이 다문화 수용성과 진로 계획에 미치는 영향 탐구 : 다문화사회 전문가 2급 이수 과정생을 중심으로
- 노인복지관 이용 전기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매개효과
-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의 AI 활용이 간호대학생의 AI 리터러시와 학습경험에 미치는 효과
- 20·30대 MZ세대의 환경동기요인이 친환경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기후변화 심각성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디지털 성폭력 피해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한국어 학습 맥락에서의 중국인 유학생 메타인지 분석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상실감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 간호대학생의 AI리터러시, 비판적사고성향, 자기효능감,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관한 연구
- AI번역 시대, 기계번역에 대한 인식의 간극 : 일반이용자와 전문번역사의 비교연구
- 성인학습자의 삶의 의미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판화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도입국아동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
-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가 학생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장 수업리더십과 교사효능감의 매개 효과
- 신중년 여성의 삶의 경험과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 자기심리학 관점을 중심으로
- 경계선지능아동을 위한 일상생활 통합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 사회복지학에서 장애와 영성에 관한 연구경향 :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 고령화가 국민건강보험 지출에 미치는 영향
- 비장애형제자매의 가족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긍정정서 반응의 매개효과
-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천 섬 관광 인식과 트렌드 분석 연구
- 광역자치단체 중독 관련 조례 분석
- 비자발적 실업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문화적 혼종성 측면에서의 K-POP의 미래 : 혼성그룹 '올데이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중국 애국주의와 한류의 정치경제학 : 국가 이데올로기와 문화수용의 충돌
- 은진송씨 송준길 가문 한글 간찰에 대한 형용사 연구
- 폐쇄적 공동체의 폭력과 연대 : <도희야>(2014)를 중심으로
- 지정학 경쟁 시대, 한국의 원전 외교 : 체코 원전 수주 사례
- 재난 거버넌스의 설계와 작동 : 필리핀과 베트남의 태풍 대응 비교
- 플랫폼 노동 종사자 지원 조례 비교 연구
- 유튜브의 정치참여 동학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한국과 국제사회 제9권 제5호 목차
- 근현대시기 서양인의 중국 속담 기록 : 언어 학습과 문화 이해, 그리고 선교의 교차 지점에서
- 중국인 유학생의 생성형 AI 사용 의도 결정요인 연구 : UTAUT모델 기반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와 AI리터러시의 조절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