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애국주의와 한류의 정치경제학 : 국가 이데올로기와 문화수용의 충돌

이용수  0

영문명
The Political Economy of Chinese Patriotism and the Korean Wave(K-Culture) : The Collision between State Ideology and Cultural Practice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우상익(Xiangyi Yu) 김영근(Young-Geun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5호, 975~1014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시진핑 시대 중국의 강화된 애국주의 담론이 한류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한류가 1990년대 이후 한국의 핵심 문화 브랜드로 자리 잡으면서 중국이 가장 중요한 시장으로 부상한 프로세스를 규명하고, 2012년 이후 중국이 '문화 자신감' 강화와 애국주의 교육 확대를 통해 외래문화 규제를 강화하는 배경(메커니즘)을 해부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한류의 글로벌 확산과 중국의 정책적 대응을 검토한다(I장). 다음으로 시진핑 시대 중국 애국주의의 특성과 '하향식(top-down)' 전파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애국주의 담론이 한류 수용에 미치는 정책적 제약, 여론 압박, 가치관 충돌의 구체적 영향을 규명한다(II-III장). 이어 중국의 문화 소프트파워 전략과 미·중 전략경쟁 심화, 지정학적 갈등 등 국제환경 변화를 검토한다(IV장). 마지막으로 불법사이트, 홍콩·마카오 행사, 현지화 전략 등 한류의 새로운 확산 경로를 분석한다(V장). 본 논문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애국주의는 한류에 정책적 도전을 제기하지만, 한중협력의 경험과 중국 소비자의 지속적 관심은 한류 발전의 기회 요인으로 작용한다. 둘째, 한류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시장 다변화, 정치적 탈각(脫政治化), 다문화적 융합(multi-cultural integration)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국가 이데올로기와 지정학적 갈등은 근본적 한계로 작용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한류는 '문화외교'를 강화하고 국제사회에서의 소프트파워를 제고하는 장기 전략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intensified patriotic discourse under Xi Jinping on the Korean Wave (Hallyu) in China. Since 2012, China's tightened cultural regulations, driven by a state-led synthesis of patriotic education and 'cultural diplomacy,' have imposed policy restrictions and fostered adverse public opinion toward Hallyu. This study investigates these challenges while also exploring Hallyu's resilience via alternative channels, such as illicit streaming and content localization, and situates these dynamics within China's broader soft power ambitions amid the U.S.-China rivalry. Findings indicate that while state-led patriotism creates significant policy challenges, sustained consumer demand continues to offer opportunities. Although market diversification and content depoliticization are vital for Hallyu's sustainability, the paper concludes that national ideology and geopolitical conflicts impose fundamental structural constraints. Navigating this complex environment thus requires a long-term cultural diplomacy strategy aimed at bolstering South Korea's soft power.

목차

Ⅰ. 서론: 한류의 글로벌 확산과 중국의 대응
Ⅱ. 시진핑 시대 중국 애국주의 강화와 민족주의 인식의 전환
Ⅲ. 애국주의 담론이 한류 수용에 미치는 영향
Ⅳ. 중국의 문화 소프트파워 전략과 국제환경의 변화
Ⅴ. 한류의 새로운 확산 경로와 메커니즘
Ⅵ. 결론: ‘문화외교’의 지속가능성과 한계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상익(Xiangyi Yu),김영근(Young-Geun Kim). (2025).중국 애국주의와 한류의 정치경제학 : 국가 이데올로기와 문화수용의 충돌. 한국과 국제사회, 9 (5), 975-1014

MLA

우상익(Xiangyi Yu),김영근(Young-Geun Kim). "중국 애국주의와 한류의 정치경제학 : 국가 이데올로기와 문화수용의 충돌." 한국과 국제사회, 9.5(2025): 975-10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