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족센터의 공공 가족상담서비스 현황과 개선방안

이용수  0

영문명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Public Family Counseling Services in Family Centers
발행기관
한국정치사회연구소
저자명
강복정(Bogjeong Kang)
간행물 정보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5호, 583~60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족센터를 중심으로 공공 가족상담서비스의 운영 현황과 공공성 실현 정도를 진단하고 제도적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족센터 종사자 41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100개소 우수기관 인증신청서의 서술형 자료를 혼합연구 설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족상담서비스는 공공성 실천(4.23점)과 효과성(4.22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인력 충원(3.35점), 운영환경(3.48점), 이용 편리성(3.54점)은 상대적으로 낮아 상담 인프라와 인력 기반의 취약성이 확인되었다. 지역별로는 효율성, 공공성 실천 정도, 공공성 활성화를 위한 지원 필요성에서 대도시권과 중소도시가 농어촌보다 유의미하기 높게 평가되었으며, 농어촌의 상담 인력 부족과 질적 한계가 두드러졌다. 전화상담서비스는 대면상담이 어려운 집단에서 효과적 대안으로 인식되었으나, 상담 품질 관리와 개인정보 보호 측면에서 제도 보완이 요구되었다. 또한 우수기관 인증자료에서는 상담사 전문성 강화, 홍보 확대, 행정 지원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결론적으로, 가족상담서비스는 일정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인력 부족·지역 격차·품질관리 미비라는 구조적 한계를 안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과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공공성 기반 상담체계 강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level of publicness in family counseling services provided by Family Centers and sought possible improvement measures. Using a mixed-methods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a nationwide survey of 419 Family Center staff and narrative responses from 100 applications for excellence certifica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while publicness practice (M=4.23) and effectiveness (M=4.22) were evaluated positively, lower scores in staff recruitment, operational environment, and service accessibility indicated weaknesses in counseling infrastructure. Regionally, metropolitan and mid-sized cities showed higher evaluations of publicness awareness and efficiency compared to rural areas, where shortages of counseling personnel and qualitative limitations were more evident. Telephone counseling was recognized as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populations with limited access to face-to-face services, yet improvements in quality management and personal data protection were necessary. Overall, the study highlighted structural limitations such as insufficient manpower, regional disparities, and inadequate quality management, emphasizing the need for policy support and institutional refor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복정(Bogjeong Kang). (2025).가족센터의 공공 가족상담서비스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과 국제사회, 9 (5), 583-606

MLA

강복정(Bogjeong Kang). "가족센터의 공공 가족상담서비스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과 국제사회, 9.5(2025): 583-6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